[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 정책이 역효과를 불러오는 모습이다.
18일 자동차시장 분석업체 오토포캐스트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북미 자동차 생산은 작년 동기 대비 12만6000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정책이 역효과를 낼 전망이다. (자료=연합뉴스)
이는 지난해 북미 생산량인 1601만대의 1%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하지만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리기 위해 관세를 부과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는 반대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오토포캐스트 측의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수입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이번 달에는 자동차 부품으로 관세를 확대했다. 국가 간 상호관세에 대해선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자동차 관세 등 품목 관세에 대해선 강경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오토포캐스트는 이에 따라 올해 북미 자동차 생산량은 1490만대로 전년 대비 6.9%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이러한 생산 감소는 궁극적으로 판매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세에 따른 미국 내 자동차 가격 상승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자동차시장 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와 신용평가사 무디스 애널리틱스가 공동 발표하는 자동차 구입 능력 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내 평균 신차 가격은 2.5% 상승했다. 특히 월평균 차 할부액은 3% 증가한 753달러로 올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포드와 스텔란티스 등 미국 자동차 브랜드들이 대대적인 할인을 제공하는 가운데서 나왔다. 관세가 미국산 자동차의 가격을 낮춰 소비자 선택권을 넓힐 것이라던 트럼프 주장과는 역행하는 모습이다.
콕스 오토모티브 찰리 체스브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여름에는 재고가 더 줄어들 것이기 때문에 미국 소비자들은 자동차 구매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