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의 주가가 1분기 실적 호조에 힘입어 황제주로 등극했다.(자료=삼양식품)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삼양식품의 주가가 1분기 실적 호조에 힘입어 황제주로 등극했다.
16일 오전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양식품 주가는 123만5000원까지 뛰어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는 현재 국내 증시에서 단순 주가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앞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지난 2월 14일 장중 120만90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시가 총액 기준으로는 삼양식품이 8조8500억원 수준으로 47위에 올랐다. 한화시스템(48위), LIG넥스원(49위), 한국항공우주(50위)를 제친 데 이어 LG(43위), 삼성에스디에스(44위), SK(45위)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증시에서 삼양식품은 작년 10월 식품 대장주에 오른 데 이어 지난 15일 1분기 실적 발표 이후 황제주로 부상했다.
증시전문가들은 삼양식품의 주가 강세는 해외 수요에 힘입은 고성장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삼양식품은 내수 시장보다 수익성이 좋은 수출이 전체 매출의 80%를 넘는다.
올해 1분기에는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삼양식품의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290억원, 1340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 67% 늘었다.
작년에는 미국과 중국 법인의 고성장에 해외 매출이 1조원을 넘었다.
삼양식품은 해외 각국에서 제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생산시설을 더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삼양식품은 작년 7월 네덜란드에 유럽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중 밀양 2공장을 완공한다.
이에 더해 중국 생산법인을 설립에도 나선다. 공장 착공은 오는 7월께 이뤄질 전망이다.
김동찬 삼양식품 대표이사는 지난 3월 열린 주주총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올해도 1조원 이상의 해외 매출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는 "제품에 대한 확신이 있고 올해 생산 인프라를 더 갖추게 된다"며 "올해를 기점으로 또 다른 매출을 보여줄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식품업계 일각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전쟁으로 최대 시장인 미국 수출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지만 미국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 우선 한숨을 돌린 모양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