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코빗 산하 리서치센터가 스테이블코인의 기능적 역할 분화를 조명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스테이블코인의 온체인 사용 양상을 자산별·체인별로 분석한 보고서 ‘스테이블코인의 구조적 분화: 온체인 경제에서의 기능적 분업’을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코빗 리서치센터가 주요 스테이블코인의 기능적 분화를 조명했다. (자료=코빗)

이번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온체인 경제 구조 속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봤다. 그 과정에서 블록체인별 경제 구조가 어떻게 분화되고 있는지를 조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은 자산별로 온체인에서의 기능이 명확히 분화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USDT는 트론 기반 송금과 중앙화 거래소 간 정산 수단으로 주로 활용된다. USDC는 이더리움·솔라나·아비트럼 등에서 디파이 담보 및 거래 자산으로 쓰이고 있다.

이와 달리 USDe나 USDS/DAI 등 가상자산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은 디파이 내에서 예치·대출·수익배분 자산으로 기능한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이 체인 특성에 따라 뚜렷하게 달라진다고 분석했다. 이더리움은 높은 보안성과 자금 규모를 바탕으로 디파이 담보 자산 중심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트론은 저수수료·고속 전송을 기반으로 송금 및 결제에 특화돼 있다는 것이다. 각 체인 내 경제 구조와 맞물려 작동하는 기능별 인프라 자산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단일 수요나 기능 중심의 일원적 구조가 아닌 사용처·수익구조·체인인프라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강동현 코빗 리서치센터 연구위원은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실물경제보다 온체인 경제 및 가상자산 시장에서의 활용이 압도적으로 많다”며 “온체인 금융 인프라와 수익 추구형 자산을 비롯해 실물경제 결제 등으로의 분화는 향후 가상자산 생태계 전반의 기회와 리스크를 동시에 확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