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 산하 리서치센터가 이번에는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산업을 집중 조명했다.

코빗 리서치센터는 디파이 산업의 구조적 변화와 규제 환경을 종합 분석한 보고서 ‘다시 쓰는 디파이 지도’를 발간했다고 24일 밝혔다.

코빗 리서치센터가 ‘다시 쓰는 디파이 지도’ 보고서를 발간했다. (자료=코빗)

이번 보고서는 디파이의 개념 및 역사와 주요 서비스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특히 거래·대출·자산운용 등 3가지 섹터별 기술 구조와 운영 전략을 심층 분석했다. 아울러 최근 규제 환경 변화가 디파이 생태계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도 함께 조명했다.

디파이는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활용해 중개기관 없이 사용자가 직접 금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방형 금융 생태계다. 더 이상 기술 실험의 장이 아닌 실질적인 금융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다.

보고서는 디파이 생태계가 ▲기술 고도화 ▲수익모델 다양화 ▲기관 투자자 유입 전략 등을 바탕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거래·대출·자산운용 세 분야 모두에서 실물자산 연계나 KYC(고객확인) 기반 기능 등 제도권 금융과의 접점을 확대하려는 흐름이 두드러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관련 규제가 완화되면서 디파이에 대한 기회가 커지고 있다고 봤다. 규제 불확실성이 완화됨에 따라 주요 디파이 프로토콜의 수익 재분배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이를 통해 기관의 디파이 진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선영 코빗 리서치센터 연구위원은 “디파이를 제도권 금융과 연결하려는 시도가 본격화 됨에 따라 규제 대응 방식과 운영 전략이 다변화되고 있다”며 “이제 디파이는 규제 바깥의 금융이 아니라 제도권 내에서 기능과 책임을 시험받는 새로운 금융 인프라의 실험장이 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