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윤 호남본부장

[한국정경신문(광양)=최창윤 기자] 지난 3일 한국정경신문이 단독 보도한(전 항만공사 사장의 수상한 수의계약①..지역문호 개방 ‘박수’ 두달뒤 정당 입당 ‘계획적’ 8월3일) 이후 광양 지역사회에서 파장은 계속되고 있다.

반박 해명보도와 전보인사가 바로 그것.

먼저 일부 언론에서 “적법한 절차에 따랐다. 사장이 지시한다고 법을 위반하면서까지 할 직원은 1명도 없다. 의혹제기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보도를 낸 언론사는 정식 취재보도가 아닌 지인을 통한 반박 해명에 불과하다는 주변 평가다.

중요한 건 전보인사다. 지난 6일 전보인사(8월12일자)에서 주요 핵심부서 직원들이 포함돼 있다는 것.

■기부와 후원(물품포함) 받은사람은 있는데 기록에 없어..전보인사도 의문투성

마침 지난 7일 추가로 궁금한 것이 있어 항만공사에 전화를 하던 도중 “어제 인사가 났다”는 소식에 항만공사로 달려갔다. 인사팀에 방문 자료를 요청했지만 “줄수 없다” 그럼 왜 보도자료를 내지 않느냐에 대해 “개인정보가 있어 몇 년전부터 보도자료를 배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외비도 아닌데 왜 못주냐” 여러 실랑이 끝에 인사자료를 받을 수 있었다. 다시 언론담당을 찾았지만 “잠깐 자리를 비웠다” 여러 차례 전화를 했지만 담당자는 “회의중이니 나중에 전화하겠습니다”라고 문자만 왔다. 형님 동생하는 사이인데 현 시간까지 답이 없다.

기부와 후원(물품포함)을 받은사람은 있는데 기록에 없어 의문투성이다. 공개자료를 2,3번 검토해봐도 없다.

이번 전보인사 13명 가운데 항만공사의 자금을 맡고 있는 재무회계부 2명, 기부와 후원을 담당하는 상생소통부 1명, 기획조정실 1명, 감사실 1명이 포함돼 있다.

한편 이번 인사에 대해 공사 관계자는 “정기인사일뿐 이번 기사보도와는 상관없다”고 설명했다.

5000만원 이하(여성기업, 장애인기업 등 사회적약자기업) 수의계약 자료는 방대하고 누락된 것이 있어 보충취재가 필요한 상황이다. 10p기준 A3용지로 제3대 방희석 사장은 3장, 제4대 차민식 사장은 6장인 반면 제5대 박성현 사장은 17장이다. 이는 전임 차 사장보다는 3배, 방 사장보다는 무려 6배나 많다. 위 박성현 사장 아래 방희석 차민식 사장 (사진=최창윤 기자)

■수의계약 비상식적으로 많고 5000만원 이하 '경악'..10p기준 A3용지로 17장

특히 이번 수의계약은 비상식적으로 많고 5000만원 이하의 경우는 경악 그 자체다. 자료 보충도 필요한 상황이다.

5000만원 이하(여성기업, 장애인기업 등 사회적약자기업) 수의계약 자료는 방대하고 누락된 것이 있어 보충취재가 필요한 상황이다. 10p기준 A3용지로 제3대 방희석 사장은 3장, 제4대 차민식 사장은 6장인 반면 제5대 박성현 사장은 17장이다. 이는 전임 차 사장보다는 3배, 방 사장보다는 무려 6배나 많다.

광양의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전보인사에 핵심부서 직원이 포함됐다면 그것도 의문이다. 특히 자치단체장 출마여부를 떠나 공금을 개인돈처럼 쓴 것 밖에 안된다. 기가찰 노릇이다”며 “수의계약이 비상식적으로 많다면 경악할 노릇이다”고 일침했다.

중마동에 거주하는 B씨(여.50)는 ”그럼 3년임기동안 광양시장 출마하려고 다 계획적으로 한 것으로 밖에 안보인다. 괘씸하다. 그럼 비자금조성, 공금횡령, 또 매수죄 아닌가 싶다“며 ”의혹제기에 불과한지는 경찰에서 수사하면 될일“이라고 직격했다.

특히 ”기부후원, 수의계약 등 수혜입은 사람은 그쪽에 붙어 있다고 동네에 소문이 파다하다. 벌써부터 그러면 이건 사전선거운동이지 뭐가 사전선거운동이냐 웃기고 자빠졌다“고 비꼬았다.

광양읍에 거주하는 C씨(남.58)는 ”이재명이 대통령이 제일 싫어하는 것이 예산낭비와 청탁 비리인데 이번기회에 엄정수사 지시를 내리는 것이 어떨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임 사장은 서울과 부산 출생으로 자연인이지만 제5대 박성현 사장은 전남 광양 진월면 출신으로 지난 6월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후보의 해양수산특보로 임명됐다. 퇴임후 두달만에 바로 민주당에 입당하고 일부 지인 언론을 통해 광양시장 출마선언을 했다.

■'공금' 국민과 시민의 세금..공공의 자산

공금은 국민과 시민의 세금에서 나온 공공의 자산이다. 이를 집행하는 과정에서의 불투명성, 자료 누락, 핵심부서 인사 이동은 그 자체로 신뢰를 흔드는 요인이다.

수의계약이 정당했다면 절차와 근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기부·후원 내역 역시 한 치의 의혹도 남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정치적 행보와 맞물린 의혹이 제기된 이상, “정기인사”나 “절차 준수”라는 말만으로는 시민들의 의심을 거두기 어렵다.

이제 필요한 것은 ‘설명’이 아니라 ‘검증’이다. 철저한 자료 공개와 독립적인 조사만이 이 의혹을 해소하고 공공기관의 신뢰를 지킬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