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현대, 삼성, CJ, 두산, SK 기업 총수들을 일으켜 세우고 있다. (자료=연합뉴스TV)
[한국정경신문=장원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한 중 한국 대기업 총수들과 만나 미국에 적극적인 투자를 해달라고 요구했다. 직접 현대차와 삼성, CJ, SK 등 주요 대기업 총수들을 자리에서 일으켜세우며 감사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하지만 불확실한 대외 투자 환경과 투자를 위한 '실탄 확보'가 마땅치 않은 상황이어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한국 대기업들은 골머리를 썩게 될 전망이다.
G2간 무역전쟁이 어떻게 진행될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로서는 난관에 봉착하게 될 수 있어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30일 “미국에 투자해준 한국 기업 총수들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며 찬사를 보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숙소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국내 주요 그룹 총수들과의 회동에서 삼성, 현대차, SK, 롯데, CJ, 두산 등의 기업명을 일일이 언급한 뒤 “이들 기업이 미국에 많은 투자를 했고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동에는 5대 그룹 총수 가운데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현대차그룹 정의선 수석부회장, SK그룹 최태원 회장,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이 참석했으며 LG그룹에서는 구광모 회장 대신 권영수 부회장이 자리를 함께 했다.
그는 감사의 인사를 전하면서 “지금보다 대미투자를 확대하기에 적절한 기회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대기업을 필두로 한국기업들이 대미투자를 적극적으로 확대할 것을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을 일으켜 세우며 “신 회장이 지난달 워싱턴 방문해 미국에 3조6000억원을 투자하기로 약속했다”며 치켜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재계 총수들과 악수를 하는 과정에서도 신 회장과는 활짝 웃으며 손을 맞잡는 모습도 연출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면담 후 구체적인 대미 투자 의사를 밝힌 기업은 현재까지 없는 상태이다.
미국 투자를 진행 중인 롯데는 신 회장이 기자들과 만나 “추가 투자를 검토할 수 있다”고 했지만 신규 투자가 아닌 기존에 진행해온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원론적인 수준의 언급이었다고 롯데 측은 설명했다.
손경식 CJ그룹 회장도 미국에 추가 투자 의향이 있다고 언급했지만 역시 최근 미국에서 공격적으로 식품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연장선에서 나온 발언이다.
실제 대부분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관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에 투자를 집행한 상황이라 당장 신규 투자를 결정할 상황이 있는 대기업은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세탁기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 공장을 운영 중이고 현대차동차도 앨라배마 공장 투자를 올해 크게 늘렸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 공략을 위해 미국에 공장을 세우기로 했고 한화도 미국에 태양광 셀 공장을 지었다.
게다가 미국 정부의 중국 통신업체 화웨이 제재를 둘러싸고 언제든지 확전이 불가피할 가능성이 높아 한국 기업 입장으로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다. 대미 투자을 무턱대고 확대할 수 없다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