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이후 새로 선임된 공공기관장 수가 48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45명은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후 임명됐고 8명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임명돼 보은성·알박기 인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 공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12월 3일부터 최근까지 새로 임명된 공공기관장은 전체(344개)의 14.0%인 48명으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 등 '내란 은폐 및 알박기 인사 저지 특별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한국마사회장 인선안 등에 반대하며 '알박기 인사'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새로 임명된 공공기관장 중 45명은 국회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지난해 12월 14일 이후 임명됐다.
특히 올해 1월 16일 임명된 최춘식 석유관리원 이사장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21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3월 17일 임명된 김삼화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장도 미래통합당 소속 20대 국회의원이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한 지난달 4일 이후 임명된 기관장도 8명이나 된다.
헌재의 탄핵기각 결정으로 업무에 복귀한 박성재 법무부 장관이 지난달 18일 임명한 검찰 출신 김영진 법률구조공단 이사장이 대표적이다.
계엄 후 새 기관장이 부임한 48개 공공기관을 주무기관별로 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가 6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무조정실·국토교통부(5명), 문화체육관광부·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환경부(4명), 고용노동부·보건복지부(3명) 등이 뒤를 이었다.
기관장이 여전히 자리를 지키는 공공기관은 37곳이었다. 13곳은 기관장 자리가 비어있다.
이 50곳은 새 정부가 출범할 내달 4일 전까지 새 기관장이 임명될 가능성이 있다. 그럴 경우 알박기 논란은 더욱 커질 수 있다.
1년 넘게 공석이던 한국관광공사 사장에 윤석열 선대위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을 지낸 국민의힘 이용호 전 의원이 제청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정당성도 없는 내란 잔재 세력이 측근 챙기기용 알박기 인사를 강행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지난달 25일 신임 한국마사회장 최종 후보자를 비공개로 의결했다. 역시 윤석열 캠프 출신 인사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주당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게 채용 절차를 멈추라고 요구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장으로는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이명박 정부 때 함께 활동한 인사가 임명된다는 말도 나온다.
이처럼 대통령 권한대행이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부처 장관이 임명·제청권을 행사하는 경우 알박기 논란을 피하기 힘들다.
매번 반복되는 알박기 인사 논란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법안이 또 발의됐다.
민주당 박해철 의원이 발의한 공공기관운영법에는 공공기관장 임기를 기타 임원처럼 2년으로 단축하고 대통령 임기 종료 후 3개월 뒤 자동 종료되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민주당은 '알박기 인사 대응 및 감시 TF(태스크포스)' 구성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