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Imagine What is Possible' 행사에서 연설을 하는 이수진 총괄대표(자료=야놀자)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야놀자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인공지능과 데이터 기술을 융합하여 글로벌 여행 시장을 혁신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야놀자는 지난 2일 판교 텐엑스타워에서 'Re:Imagine What is Possible' 행사를 개최했다고 3일 전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임직원 40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했으며 여행업계 주요 협력사 관계자들이 함께 자리했다.
이수진 총괄대표는 "세상 모든 이에게 꿈의 여행을 실현시켜준다"는 야놀자의 비전을 제시하며, AI와 데이터 기술을 결합하여 여행 및 여가 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지난 20년간의 성장을 발판 삼아 앞으로 10년은 글로벌 넘버원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 도약하며 임직원들과 함께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2005년 온라인 숙박 정보 커뮤니티로 시작한 야놀자는 2011년 국내 최초 모바일 숙박 앱 '야놀자'를 출시하며 디지털 전환을 이끌었다.
즉시 예약 시스템 등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 1위 숙박 예약 플랫폼으로 성장했으며 2015년 '리스타트'를 선언하며 호텔, 해외 숙박, 레저, 교통, 항공 등 여행 및 레저 전반을 아우르는 '슈퍼앱'으로의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뤄냈다.
지난해에는 야놀자 플랫폼 사업 부문을 분할해 인터파크트리플과 통합한 신규 법인 놀유니버스를 출범시키며 여가·여행·문화 데이터를 모두 아우르는 온리원 플랫폼으로의 진화를 예고했다.
또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사업을 앞세워 글로벌 트래블 테크 기업으로의 도약을 차곡차곡 준비해왔다. 2019년 글로벌 호텔 솔루션 기업 이지 테크노시스를 인수하며 클라우드 기반 서브스크립션 솔루션을 개발했고 전 세계 여행 사업자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글로벌 시장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
2023년에는 고 글로벌 트래블을 멤버사로 확보하여 206개국 대상의 글로벌 데이터 인프라 구축에 박차를 가하며, 파편화된 전 세계 여행 데이터를 연결하고 통합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다가오는 AI 시대에 발맞춰 야놀자는 AI 기술을 기반으로 여행 산업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한다.
독자적인 데이터와 AI 기술을 바탕으로 여행자에게는 맞춤형 생성형 AI 서비스를, 여행 사업자에게는 자동화된 운영 환경을 기반으로 효율성 및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AI 에이전트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야놀자는 글로벌 트래블 테크 선도 기업으로서 더욱 쉽고 스마트하며 안전하고 개인화된 여행 경험을 제공하며 글로벌 여행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이와 함께 야놀자의 비전과 미래를 담은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공개됐다. 핵심 컬러인 '야놀자 오렌지’는 여행자가 여행지에서 맞이하는 석양처럼 따뜻한 감성과 행복을 상징하며, 기술을 넘어 여행의 감성을 전달하는 기업의 철학을 담고 있다.
또한 지구와 여행의 각 터치 포인트를 연결하는 라인을 형상화한 심볼을 더해 전 세계 여행 시장을 연결하는 하이퍼 커넥터로서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야놀자 브랜드를 사용하는 전 세계 멤버사의 브랜드를 신규 마스터 브랜드 아래 통합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이수진 총괄대표는 "AI, 휴머노이드, 자율주행 등 기술의 변화 속에서 자동화된 오프라인 운영 환경과 플랫폼을 선도하기 위한 기준은 야놀자의 필수 조건이 될 것"이라며 "AI 기술과 고유의 여행 특화 데이터로 세상의 여행산업을 다시 재정의함으로써, 여행자와 여행 사업자 모두가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행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세상 모든 이들의 행복한 꿈의 여행을 실현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는 창립 20주년을 축하하는 메시지가 이어졌다.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이사 부회장, ‘강남스타일’로 잘 알려진 가수 싸이, 고친키옹 싱가포르 투자청 CIO, 아데나 프리드먼(Adena Friedman) 나스닥 CEO 등 주요 인사들이 야놀자가 이끌어 온 지난 20여년간의 글로벌 여행산업의 변화와 더 큰 혁신을 기대하는 축전을 보내왔다.
나스닥은 뉴욕 타임스퀘어 빌보드를 통해 축하 메시지를 띄워 현장의 영상을 공유해 눈길을 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