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최근 통신업계에서 보안 사고가 이어지면서 SK텔레콤이 진땀을 흘리는 모습이다. 국제 해킹조직이 자사 고객 데이터를 판매한다며 해킹을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설상가상 최근 부과받은 과징금이 과도하다고 국회에 호소했다는 내용까지 전해졌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서울 을지로 SKT 타워 전경 (사진=SKT)
SKT는 16일 국제 해킹조직이 자사 고객 데이터를 판매하겠다고 주장한 바에 대해 자사와는 무관한 일이라고 일축했다.
해외 보안매체에 따르면 ‘스캐터드 랩서스’라는 국제 해킹조직이 텔레그램을 통해 SKT의 고객정보 100GB 분량의 샘플을 1만달러에 판매하겠다고 밝혔다. 관련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실여부 확인을 위해 조사에 착수했다.
이에 대해 SKT 측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그들이 제시한 데이터 샘플이 실제와 다르며 용량도 과장돼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과기정통부가 지난 7월 발표한 민관합동조사단 최종 조사결과에 따르면 SKT 해킹 사고로 인한 정보 유출 규모는 총 9.82GB다. 해커 측에서 주장하는 100GB와는 큰 차이가 있는 셈이다.
SKT에서 해킹 사고가 일어났고 이 사실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보니 이를 악용해 협박을 하려는 시도로 추정된다.
또한 최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서 부과한 과징금이 과도하다고 국회에 호소했다는 내용이 알려지기도 했다. 한국경제신문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5일 김승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13쪽 분량의 보고서를 보냈다. 이번 과징금이 형평성·비례성 원칙에 어긋난다는 내용이다.
관련해 SKT 측은 보안 사고와 관련된 자사의 상황 전반에 대한 설명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아직 과징금 부과 관련 의결서를 수령하지 못했기에 내용을 검토한 후 대응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SKT 관계자는 “자사를 비롯해 최근 통신업계에서 보안사고가 이어지며 국회의 관심이 높아진 만큼 자사의 상황을 전반적으로 설명하는 내용으로 과징금 관련 내용은 그 중 일부분이었다”며 “사실 아직까지 개보위 측으로부터 의결서를 받지 못한 상태이며 수령 이후 내용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