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카드업계가 인공지능(AI) 관련 조직과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디지털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한카드는 사내 AI 플랫폼인 ‘아이나’의 사용을 늘려가고 있으며 KB국민카드는 하반기 들어 AI센터를 신설했다. BC카드와 우리카드는 AI 상호 협력을 위한 워킹그룹을 출범하기도 했다.
카드사의 이러한 행보는 업황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비용 효율과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아직 단순 작업 수준에 적용되는 단계인 만큼 실질적인 효과를 보려면 역량을 더 끌어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신한카드, KB국민카드, BC카드 본사 전경 (사진=각사)
1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고객 상담에 이어 마케팅 환경에서도 생성형 AI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AI를 실무 환경에 적극 도입해 업무 효율성과 대고객 기능을 고도화하는 모습이다.
먼저 신한카드는 AI 플랫폼 ‘아이나’를 업무 전반에 적용해 사용하는 중이다. ‘아이나’는 신한카드의 사내 생성형 AI 플랫폼이다. 직원 개인의 업무 패턴을 학습한 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단순 반복 작업뿐만 아니라 마케팅 기획과 관계형 질의 언어(SQL) 분석 기능까지 지원해 작업 효율을 크게 개선시켰다고 평가된다. 최근에는 임부서장이 고객 민원을 직접 확인한 후 개선 사항을 제안하는 ‘우문현답’ 프로그램을 ‘아이나’를 통해 진행하기도 했다.
전담부서를 조직하는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KB국민카드는 지난 7월 AI데이터사업그룹 산하에 ‘AI센터’를 신설했다. 이 조직은 ‘AI솔루션’과 ‘AI에이전트’를 개발하고 전사적인 AI 활용 확대에 중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우리카드와 롯데카드 역시 올해 ‘AI 추진팀’을 조직해 운영하기 시작했다. 특히 우리카드는 ‘카드의정적2’ 상품 광고와 캐릭터 ‘베이비블루’를 생성형 AI로 제작해 눈길을 끌었다.
BC카드는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에 힘쓰는 모습이다. 올해 6월에는 금융위원회로부터 AI 기반 혁신금융서비스 2건을 신규 지정받기도 했다. 각각 카드상품안내장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해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기능과 가맹점 정보를 최신화 시켜주는 서비스다. 이달 들어서는 우리카드와 ‘워킹그룹’을 출범시키며 AI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업계에서는 기본적인 사무 업무를 AI가 대체하게 되면서 카드사의 비용 효율화 활동에 추진력이 붙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제 막 근무 환경에 AI 기능을 도입하기 시작한 것이라 눈에 띄는 효과를 보기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주된 평가다.
이와 함께 AI 관련 서비스의 보완 역량 강화도 숙제 중 하나로 꼽힌다. 최근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해킹 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AI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사고 예방조치가 병행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각 카드사가 AI 시스템을 도입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조금씩 활용 방안을 늘려가는 상황이다”라며 “고객 민원 해결과 업무 처리 과정에서 조금씩 성과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