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공인중개사협회가 '부동산통합지수시스템(KARIS)'을 개선해 서비스 재개에 나선다.
9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공인중개사협회는 최근 부동산 가격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수와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는 지수 개발을 완료했다.
지수에는 지역별 가구 수나 인구 이동, 소비자 심리 지수, 경제 상황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다. 이를 통해 한국부동산원이나 KB부동산이 제공하는 매매 가격 지수처럼 부동산 시장을 좀 더 객관적이고 심층적으로 반영한 부동산 지수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공인중개사협회는 서비스가 추가된 KARIS 시스템이 실제 시장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고자 이번 달부터 실제 거래 가격 등을 토대로 시스템 검증과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KARIS 개시 직후 공공기관 등의 통계와 상반된 결과를 내보였던 점을 의식해 부동산원 등의 지수와 부합하는지도 테스트 중이다.
앞서 협회는 작년 8월 협회가 보유한 5300만건 이상의 매매·임대차 계약 자료를 토대로 국토부보다 한 달가량 빠르게 실거래 통계를 제공하겠다며 KARIS를 선보였다. 이후 첫 주택시장 통계에서 서울 아파트값은 7월에 2.4% 올랐다가 8월 4.5% 떨어졌다고 발표했다.
반면 국토부 산하 한국부동산원이 7월 1.19% 상승, 8월 1.27%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KB국민은행도 7월 0.56%, 8월 0.89% 각각 올랐다는 결과를 내놓으면서 KARIS만 다른 결과를 도출한 것이다.
이로 인해 KARIS가 집값 통계에 대한 혼란을 가중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공인중개사협회는 통계 발표를 잠정 중단하고 새로운 지수 개발을 진행했다.
공인중개사협회 관계자는 "구체적인 시기는 미정이지만 올해 안으로 새 지수를 탑재한 KARIS 서비스를 재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