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총 25만8318건으로 이 중 월세가 50.4%(13만295건)를 차지했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지난달 전국에서 이뤄진 임대차 거래 중 월세의 비중이 절반을 넘기며 전세 거래량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전월세 거래는 총 25만8318건으로 이 중 월세가 50.4%(13만295건)를 차지해 전세 거래량(12만8023건·49.6%)을 상회한 것으로 조사됐됐다. 월세 거래량이 50%를 넘고 전세 거래량을 추월한 것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지난 2011년 이후 최초다.

올해 1∼4월 누적 거래 기준으로 보면 임대차 거래에서 월세의 비중은 48.7%로 지난해 같은 기간(42.2%)보다 6.5%포인트 높고 5년 평균(41.6%)과 비교해서는 7.1%포인트 높았다.

국토부는 월세 비중이 늘어난 배경에 대해 2020년 7월 도입된 '임대차 3법'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본다.

특히 지난해 6월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이후 그동안 신고가 잘 이뤄지지 않던 오피스텔과 원룸 등 준주택의 월세 계약 신고가 증가해 월세 비중도 함께 확대된 것이란 분석이다.

또 전문가들은 임대차 3법 시행 이후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해 기존 주택에 계속 거주하는 세입자가 늘어 전세 매물이 잠기고 집주인들이 4년 치 보증금 인상분을 한 번에 올려 받으려고 하면서 전셋값이 크게 증가한 것도 전세의 월세화 현상을 부추긴 한 원인으로 해석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잇단 금리 인상으로 세입자 입장에서도 전세대출을 받아 비싼 이자를 내느니 차라리 집주인에게 월세를 내는 편이 낫다고 여기는 분위기도 월세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