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새마을금고가 2023년 뱅크런 사태 이후 혁신을 약속했으나 부실금고 합병 과정의 투명성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3년간 전국에서 32개 금고가 합병됐다. (자료=연합뉴스)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3년간 전국에서 32개 금고가 합병됐다. 이 중 28곳은 부실로 인한 합병이었다. 부실 금고 16곳은 자본잠식 상태였고 14곳의 대출 연체율은 최고 36.33%에 달했다.

문제는 합병 과정의 투명성이다. 피합병된 32개 금고 중 10곳은 합병총회 공고를 금고 건물 게시판에만 부착했고 총회 참여율은 평균 4.8%에 불과했다. 합병 결과 공고도 23곳이 게시판에만 부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특히 비회원 고객은 더욱 사각지대에 있다. 지난해 기준 새마을금고 전체 여신액의 72%, 수신액의 36%가 비회원 거래임에도 고객 안내 규정은 없었다.

허영 의원은 “합병 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회원·고객 모두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