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보험회사 최고경영자(CEO)에게도 ‘소비자 보호’ 체계 강화를 당부하면서 “불완전 판매 등의 시장 문제 개선을 위해 행위자뿐만 아니라 경영진에게도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8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장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은 서울시 생명보험협회 교육문화센터에서 보험사 CEO 간담회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 원장은 “소비자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관점을 우선시하는 조직문화를 내재화해야 한다”며 “상품설계와 심사 단계부터 사전예방적 소비자보호 체계를 강화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금감원은 현장점검 등을 통해 내부통제가 책무구조도에 반영돼 체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철저히 살펴볼 계획이다”라며 “상품 개발 관련 내부통제가 이행되지 않는 경우 무관용 원칙에 따라 조치할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보험회사의 재무건전성에 대해서는 자체 영향 분석, 적극적인 자산·부채 종합 관리에 힘써 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할인율 현실화 속도를 조절하면서 ‘기본자본 지급여력(K-ICS) 비율 규제에도 충분한 준비 기간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공정한 시장 질서 확립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과도한 판매 경쟁과 상품 쏠림 심화는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다”며 “판매수수료에 대한 엄격한 통제장치를 갖추고 판매위탁 관리체계를 내실 있게 운영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보험시장에 만연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생산적 금융에 대한 자금공급과 ESC 연계 투자를 확대해달라고 요청했다.
보험사 CEO들은 판매수수료 개편, 실손보험 청구 전산화 2단계 시행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달라고 건의했다.
이에 이 원장은 “간담회에서 논의된 건의사항 등을 향후 감독·검사업무에 적극 반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