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밋빛 원전 안의 그늘"..한수원, 폐기물 문제 '시급' 엘다바 원전 계약도 '치일피일'

'우크라 사태 영향'..수조원대 이집트 원전계약 지연
원전 생태계 복원 속도..핵폐기물 처리는 '고민거리'

이정화 기자 승인 2022.05.09 15:19 의견 0
한수원 본사 사옥 전경 [자료=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탈원전 정책' 폐기를 외치는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원전 사업에 대한 장밋빛 전망이 쏟아지는 가운데 국내 대표 원전 수출 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을 향한 다양한 우려가 고개를 든다.

9일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올해 원전 이용률 목표치를 82.3%로 세웠다. 지난해 74.5%였던 이용률을 7.8% 끌어올린 것이다.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5년 85.3%에 달했던 원전 이용률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8년 65.9%까지 떨어졌다. 이에 원전 이용률이 높아지면 윤 정부의 공약인 '2030년까지 원전 발전 비중 30% 달성'을 성공적으로 이룰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처럼 차기 정부의 탈원전 정책 폐기와 원자력 발전 확대 공약에 힘입어 한수원도 원전 이용률을 높이거나 수출 거점을 늘리는 등 발을 맞추는 모습이다. 다만 사업에 탄력이 붙기까지는 적잖은 험로가 예상된다는 평이다.

한수원은 올해 원전 시장에서 '이집트 엘디바 원전' 사업으로 14년 만에 조 단위 성과를 기대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 사태가 변수로 떠오르면서 계약 체결이 미뤄지고 있다. 더욱이 원전 사업 확대에 따른 폐기물 문제도 시급한 과제로 제기된다.

앞서 한수원은 2019년부터 추진해온 이집트 엘디바 원전 사업에 대해 가격 등 세부 조건 협상을 거쳐 지난달 정식 계약을 맺기로 했다. 전체 계약 규모가 수조원대인 만큼 시장의 기대를 한몸에 받기도 했다. 한수원이 원전 수출에서 조 단위가 넘는 사업체 참여하는 사례는 지난 2008년 아랍에미리트연합 바라카 원전 이후 처음이다.

하지만 계약 체결이 계속해서 지연되면서 일부에서는 사업에 함께 참여하는 러시아 국영기업에 따른 영향이 아니냐는 의문이 나온다. 한국이 대 러시아 제재를 추진하면서 양국 관계가 최근 비우호적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사업은 1200메가와트급 원전 4기를 건설하는 것으로 이집트 원자력청이 발주하고 러시아 국영 원전기업 로사톰의 자회사인 JSC ASE가 2017년 수주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한수원 관계자는 "엘다바 원전 계약이 지연된 건 사업 규모가 ‘조’ 단위여서 예상보다 협상에 시간이 걸리고 있기 때문"이라며 "다만 국제 상황의 영향을 받지 않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원전 생태계 복원이 현실화 조짐을 보이면서 폐기물 처리 문제도 대표적인 고민거리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대통령 인수위가 최근 5년 동안 멈춘 신한울 3·4호기 건설을 조속 재개하기로 하면서 한수원의 단기간 수익 성장 등 호재는 예상되지만 핵폐기물 숙제는 짧은 시간에 해결하기 어려워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원전 가동률이 점차 길어지면 원자력 발전 이후 남는 핵폐기물인 사용후 핵연료도 증가하게 되고 핵폐기물이 임시저장시설에 포화되는 시점도 앞당겨지는 셈"이라며 "정부가 최근 사용후핵연료 처리 문제를 위해 경수로 발전소 내에 건식저장소 신규 설치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안전진단과 주민설득 등 과정을 거쳐야 해 차기 정부 5년 임기 내 완료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라고 회의감을 표했다.

한수원 관계자는 "폐기물 저감 등 친 환경정책 이행을 통해 기후변화를 선도할 것"이라며 "지난해부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전략 체계를 구축하고 ESG 위원회를 구성해 본격적인 ESG 경영 활동을 시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