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통신사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해 "기존보다 반걸음, 한걸음 빠른 대응책을 고민해 해결책을 찾아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11일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KT 광화문지사에 방문해 소액결제 사고 관련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사진=연합뉴스)
1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배 장관은 취임 50일을 기해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반복되는 통신사 사이버 침해 사고에 높아지는 국민 불편·우려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처럼 답했다.
그는 최근의 KT 사이버 침해 사건에 대해 "지난달 22일 이전부터 문제가 됐던 것들이 지금 터지는 것 아닌가 해서 종합적인 연관 관계를 분석 중이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인공지능(AI)에 관심을 가지는 것 이상으로 정보 보호 체계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며 “AI 대전환 시대에 앞서서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해킹 이슈라고 본다"고 밝혔다.
또 "AI를 악용한 해킹 기술이 발전하는 상황에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이에 대한 준비가 돼 있는지 고민이 많다"며 "정보 보호 대전환 체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고 류제명 2차관을 단장으로 정보 보호 대응 태스크포스(TF) 팀을 꾸려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대응을 해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사이버 침해를 당한 기업이 당국에 신고하지 않으면 당국 개입이 어려운 현행 제도에 대한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정보통신망법은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가 침해 사고를 인지하면 24시간 이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나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반할 시 3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이에 배 장관은 "신고 이후에 당국이 조사할 수 있는 지금 체계를 바꾸기 위해서 국회와 소통 중이다"라며 "통신사들도 정부를 믿고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신고하거나 상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