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교보생명이 구성원의 인공지능(AI) 역량을 높이고 향상된 고객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생성형 AI 서비스 3종을 정식 오픈했다고 4일 밝혔다.
교보생명이 재무설계사와 임직원 업무 활동에 생성형 AI 서비스 3종을 도입했다. (이미지=교보생명)
이번에 오픈한 서비스는 ▲보장분석 AI 서포터 ▲재무설계사(FP)소장 AI 어시스턴트 ▲AI 데스크(Desk)다. 지난해 말 금융위원회로부터 ‘망분리 규제 예외’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회사 내부망에서도 AI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보장분석 AI 서포터는 교보생명 FP가 고객의 보장내역을 분석하고 최적의 보장을 제안하는 과정을 돕는다. 생성형 AI를 활용해 주요 급부별 보장 현황을 분석·요약해 준다. 부족한 보장에 대해서는 대안을 제시해 더 정교하고 신속한 고객 상담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FP는 보장분석에 투입하는 시간을 줄이고 고객 상담에 집중할 수 있다.
FP소장 AI 어시스턴트는 FP소장의 주요 역할인 신인 FP 도입부터 트레이닝, 팀 성과관리까지 주요 실적 관리를 지원한다. 생성형 AI로 팀원 목표 관리와 수수료 예측, 리크루팅 후보자 추천 등을 제공한다.
모바일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든 팀 성과를 관리할 수 있다. 향후 모인 데이터를 자산화하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해 전사 디지털 전환(AI-DX) 기반 마련을 지원할 계획이다.
임직원을 위한 AI Desk는 회사 내부 생성형 AI 통합 서비스다.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 최적의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됐다. 지난 2023년 도입한 ‘교보GPT’를 고도화한 것으로 자연어 질의응답 서비스와 ▲부서 특화형 등으로 구성돼 있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AI를 업무 전반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생성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를 고도화하는 중이다”라며 “이를 통해 AI 활용 역량을 강화하고 한 차원 높은 고객 경험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