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저죽은행 최고경영자(CEO)에게 “하반기에도 자체 부실정리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손실흡수능력을 충분히 확보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저축은행 CEO와의 간담회 자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4일 이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시 마포구 저축은행중앙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CEO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와 함께 저축은행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과 업계 건의사항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이 원장은 저축은행의 주된 고객이 서민·중소기업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보호 중요성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예금보호한도가 1억원으로 상향된 만큼 금융소비자보호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또 “모든 단계에서 금융소비자의 관점을 고려해 의사결정할 필요가 있다”며 “법률상 허용된 채무조정요청권, 금리인하요구권 등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안내해 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저축은행 이용자들이 금융범죄에 더 취약한 측면이 있으므로 소비자보호를 위해 보안 인프라와 내부통제를 강화해달라고도 요청했다. 경영진에게는 안전한 금융 거래 환경 조성을 위해 관심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건전성 악화의 원인이 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에 대해서는 “단기 수익성에만 치중한 결과로 볼 수 있다”며 “상품 설계부터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금융소비자의 관점으로 득실을 따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동산 경기에 편승한 고위험 여신 운영을 지양하고 지역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자금공급 역할을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영업기반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을 고민해 주시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저축은행 CEO들은 영업경쟁 격화와 신성장동력 약화 등 업권의 경영상 애로사항을 언급했다. 또 저축은행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끔 당국에서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환경 조성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원장은 “향후 감독·검사 업무에 적극 반영하겠다”며 “업계의 애로사항 해소에 관심 가지고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