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지난해부터 재개됐던 은행권의 점포 폐쇄 움직임이 올해 2분기 들어 한풀 꺾였다. 정권 교체기 금융당국의 절차 강화와 부정적 여론이 맞물리면서 은행들이 ‘신중 모드’로 들어간 모양새다.

4일 은행연합회의 ‘은행 점포 신설·폐쇄 현황’을 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총 3755곳이다. (사진=연합뉴스)

4일 은행연합회의 ‘은행 점포 신설·폐쇄 현황’을 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점포 수는 총 3755곳이다. 이는 전분기 말 3766곳 대비 11곳 감소한 수치다. 지난 1분기에만 76곳이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감소폭이 크게 둔화됐다.

2분기 동안 새로 문을 연 점포가 10곳, 문을 닫은 곳이 21곳으로 순감소는 11곳에 그쳤다. 반면 1분기에는 91곳이 폐쇄되고 15곳만 신설돼 순감소 76곳을 기록했었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이 2분기 가장 많은 14곳을 통폐합했다. 우리은행이 5곳, 하나은행과 KB국민은행이 각각 1곳의 점포를 줄였다. NH농협은행은 점포 수에 변동이 없었다.

다만 폐쇄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실제 고객의 접근성이 크게 악화되는 형태의 폐점은 많지 않았다. 신한은행의 경우 같은 건물이나 인근 건물에서 나눠 운영하던 개인금융과 기업금융 점포를 하나로 합친 통합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에서 각각 폐쇄된 5곳과 1곳은 기존 지점이 출장소로 전환된 경우로 완전한 폐쇄와는 거리가 있다. 국민은행도 기관 협약 종료로 출장소 1곳을 폐쇄했다.

은행권의 점포 축소 움직임은 2023년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절차’ 도입 후 잠시 주춤했다가 지난해 도심지를 중심으로 다시 확산하는 추세였다. 하지만 올 2분기 들어 이마저도 멈칫하는 양상이다.

이는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조하는 새 정부의 출범과 무관하지 않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디지털 공동 점포 활성화’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금융 취약계층의 접근성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왔기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는 규제를 통한 억제보다는 지역별 맞춤형 특화점포 운영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금융 접근성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여기에 금융당국이 점포 폐쇄 관련 가이드라인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점도 은행들의 ‘신중 모드’를 부추겼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초부터 은행점포 폐쇄 공동절차 개선 작업을 추진 중이다. 은행들이 그간 공동절차를 미준수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준 ‘예외조항’을 공동절차에서 삭제하는 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억원 금융위원장 후보자 역시 인사청문회에서 점포 폐쇄 대안 마련에 대해 “취지와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방법론에서 자율 규제로 할지 강제로 할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에서 점포 폐쇄 공동절차 개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며 “구체적인 개편 방향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