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한국 경제가 점차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만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둔화가 변수로 지목된다.

한국 경제가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사진=연합뉴스)

31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41개 국내외 기관이 제시한 내년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망치는 평균 1.8% 수준이다.

이는 지난 28일 한국은행이 수정 경제전망에서 제시한 1.6%보다 0.2%p 높다. 정부 전망치와 동일한 수치다.

골드만삭스·JP모건체이스·스탠다드차타드·BNP파리바 등 비롯한 8개 기관은 2% 이상의 성장세를 예상했다. 노무라증권·알리안츠·도이치뱅크·스탠더드앤드푸어스·소시에테제네랄 등도 평균보다 높은 1.9%의 성장을 내다봤다.

모건스탠리와 캐피털이코노믹스, 피치 등은 비교적 낮은 수치를 제시했지만 나머지 35곳은 모두 한은 전망치와 같거나 높게 잡았다.

내후년 전망치는 더 높다. 현재까지 국내외 19개 기관이 제시한 한국의 2028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2.0%로 집계됐다. UBS가 2.9%를 제시했으며 소시에테제네랄·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 등 3개 기관이 2.1%를 매겼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와 피치 등 4개 기관은 1.9%를 제시했다.

관련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28일 기자간담회에서 “잠재성장률이 2% 밑으로 떨어졌다고 보고 있다”며 “내년 하반기 잠재성장률에 가까운 성장률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분기별 성장 전망에서도 개선세가 엿보인다.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1분기 성장률은 -0.2%로, 주요 37개국 가운데 31위 수준에 그쳤다. 이어 2분기에는 0.6%로 37개국 중 10위까지 순위가 올랐다.

3분기에는 민간 소비를 중심으로 한 내수 회복과 반도체 등 수출 호조로 성장률이 1.1%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다. 이러한 전망이 현실화될 경우 3분기 국제 순위는 최소 5위권 내로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다만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수출 둔화 우려와 건설경기 부진은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로 지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