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최근 포스코이앤씨와 DL건설(옛 대림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숨지거나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건설업계가 초긴장 상태에 놓인 모습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산업재해 사고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고 못박으면서 자칫 다음 타자가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포스코이앤씨와 DL건설(옛 대림건설) 현장에서 근로자가 숨지거나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건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이미지=연합뉴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 5년간 산업재해 사고가 유독 많았던 한국전력공사와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의 공기업도 타깃으로 떠오르고 있다.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 8일 DL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근로자 추락 사고는 안전 조치 미흡으로 보인다. 해당 근로자는 아파트 18층 외벽에 설치된 그물망을 해체하던 중 일부가 6층에 걸리자 이를 해결하려다 그 과정에서 지지대가 무너져 추락했다.
포스코이앤씨의 연이은 현장 사고로 대통령까지 나서 면허취소를 언급하는 등 강하게 질타했지만 얼마되지 않아 또다른 건설사에서도 추가 사고가 난 셈이다.
건설사들은 건설업 자체가 정부의 타깃이 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경기 침체와 정부의 각종 금융 규제 등으로 건설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악재가 겹친 여파다. 앞서 반복된 현장 사고로 포스코이앤씨는 대표이사가 사임하는 사태도 발생했다. 현재 정부 내에서는 면허취소도 거론하고 있어 자칫 회사 미래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건설업계는 현장 특성상 말그대로 막을 수 없었던 ‘사고’인 경우도 존재한다며 현장 사고를 막기 위한 구조적인 문제 등을 먼저 풀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현장 사고를 막기 위해선 공사 기간을 여유롭게 잡는 게 최선인 데 결국 공사 원가가 오르고 이는 분양가 상승 등 시장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며 “현재 최저가 및 공사기간 단축에 대한 수주 인센티브가 존재하는 현실을 먼저 바꾸지 않고 채찍만 가하면 국내 건설 업계 경쟁력만 하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의 이러한 분위기는 산재 사고가 많은 일부 공기업까지 확산하는 모습이다. 가령 한국전력과 도로공사, LH 등은 최근 5년간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수가 각각 33명·30명·29명에 달한다. 정부는 건설업 뿐만 아니라 이같이 산업재해가 반복되는 공기업의 상황도 들여다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게다가 한전과 도로공사의 사장은 지난 윤석열 정부 당시 임명됐다는 점에서 사고 발생시 바로 옷을 벗을 수 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LH 사장은 최근 임기 3개월을 남겨두고 스스로 사임 의사를 밝혔다.
이와 관련해 지난 5일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기업을 대상으로 산업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불법 하도급 등 관행에 무관용 원칙을 내세우기도 했다.
공기업 관계자는 “현 정부가 산업재해 사고에 대해 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안전 관리가 더 중요한 시점이다”며 “특히 지난 정부서 임명된 수장이 있는 기관들은 사고 여파가 더 클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