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한국의 제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관세 조치가 발효될 시 타격이 클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27일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은 27.6%로 집계됐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15.8%)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제조업 비중이 OECD 국가 중 2위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제조업의 GDP 비중은 2015년 30.2%에서 꾸준히 낮아지는 추세다. 그러나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인 독일(20.1%) 및 일본(20.7%)보다도 높다. 아일랜드(31.0%)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다. 서비스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제조업 의존도가 높다는 뜻이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첨단 제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조선·철강 등 전통 제조업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제조업 기반 수출 비중도 높은 편이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은 44.4%다. OECD 평균(30.0%)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주요 7개국(G7)보다도 높다.
전체 수출액 중 대미수출 의존도는 지난해 18.8%였다. G7 중 우리나라보다 대미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캐나다(76.4%)와 일본(20.0%) 뿐이다.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경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전망도 나온다.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자동차·이차전지 등의 가격 경쟁력 약화로 대미 수출이 줄어들 것이란 점에서다. 이는 국내 제조업 생산 위축과 기업들의 투자와 고용 축소 등으로 이어져 경제성장률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정부는 관세 기한 전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번 주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만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