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부영그룹이 ‘2025년 시무식’을 개최하며 올해도 ‘자녀 1명당 1억원’이라는 파격적인 출산장려금을 지원한다고 6일 밝혔다.

지난 5일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가운데)이 2년 연속 출산을 진행한 임직원에게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부영그룹)

부영그룹의 시무식은 지난 5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진행됐다. 이날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출산 직원 자녀 1인당 1억원씩 총 28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출산한 직원에게 지난해 70억원 지급한 것을 포함하면 총 98억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제공한 것이다.

이 회장은 시무식 인사말에서 “대한민국의 저출생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경제생산인구수 감소와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며 “우리가 마중물이 돼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실제 출산장려금 지급 후 부영그룹의 사내 출산율은 증가했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3명의 아이가 태어난 데 반해 작년에는 5명 증가한 28명이 출산장려금 혜택을 받은 것이다. 사내 출산율 증가는 출산장려금 지급에 따른 경제적 부담 경감 효과에 힘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이 회장은 “출산장려금 제도를 통해 그룹 내 퍼진 문화의 긍정적인 동향 지속으로 직원들의 출산율이 증가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 회장은 대한민국의 미래와 희망을 위해서 역사를 되돌아볼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대한 감사와 후대에 이어질 시대정신을 강조하며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도 제안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다”라며 “유엔군의 희생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는 마음으로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시대정신을 후세에 지속적으로 물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