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21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계가 최근 1년간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위해 사용한 현금 지출액은 지난해 기준 월평균 51만원이었다. [자료=한국은행]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신용카드와 페이 등 비현금지급수단이 널리 쓰이면서 현금 사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현금 사용이 줄어들면서 카페 등 프랜차이즈 매장을 중심으로 현금결제를 거부하는 현상도 크게 늘었다.
15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2021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계가 최근 1년간 상품 및 서비스 구매를 위해 사용한 현금 지출액은 지난해 기준 월평균 51만원이었다. 2018년(64만원)보다 13만원(25.4%) 감소했다.
전체 지출액에서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신용·체크카드(58.3%)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기업의 현금사용 비중 감소 폭은 더욱 컸다. 최근 1년간 기업의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2018년 2906만원보다 68.5% 감소한 912만원이었다.
현금지출 비중도 지속적으로 하락해 1.2%에 불과했다. 반면 계좌이체를 통한 지출은 86.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현금 사용이 줄어들면서 카페 등 프랜차이즈 매장을 중심으로 현금결제를 거부하는 현상도 크게 늘었다.
현금결제 거부 사업장과 연령별 현금결제 거부 경험 비중 [자료=한국은행]
최근 1년간 상점 및 음식점 등에서 현금결제를 거부당한 적 있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중은 6.9%로 2018년보다 6.4%p나 늘었다.
경험자 64.2%가 카페 등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현금결제를 거부당했다고 답했고 자영업 사업장(13.7%), 기업형 슈퍼마켓(5.4%) 등이 뒤를 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비현금지급수단 이용이 많은 일부 사업장을 중심으로 현금거래시 거래내역의 회계처리 누락 위험, 현금의 분실·도난 위험, 보관·입출금 등 관리비용 등 부담을 고려해 현금결제를 제한하는 데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