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대기업 정규직 내 고령자 고용 비중이 청년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 대학교에서 열린 하반기 채용박람회에서 학생들이 기업체 담당자들과 상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7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우리나라 노동시장 이중구조 실태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 정규직 부문의 55~59세 고령자 고용은 2004년 4만2000명에서 2024년 24만7000명으로 492.6% 증가했다. 반면 23~27세 청년 고용은 같은 기간 19만6000명에서 19만3000명으로 1.8% 감소했다.

이에 따라 대기업 정규직 내 고령자 비중은 2.9%에서 9.3%로 상승해 청년 비중(13.7%→7.3%)을 역전했다. 특히 노조가 있는 대기업에서는 고령자 비중이 2.7%에서 10.7%로 급증하며 청년 비중(13.6%→6.0%)과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보고서는 “전체 일자리의 약 10%를 차지하는 노조가 있는 대기업 정규직에서 고령자 고용의 급격한 증가가 세대 간 일자리 경합을 더욱 격화시키고 청년의 노동시장 진입장벽을 더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대기업 정규직의 진입장벽은 근속연수 지표에서도 나타났다.

대기업 정규직의 평균 근속연수는 2004년 10.40년에서 2024년 12.14년으로 늘어난 반면 신규 채용률은 9.6%에서 6.5%로 하락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노동시장 경직성이 높은 대기업 정규직은 유연성을 높이고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높은 중소기업·비정규직은 사회안전망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며 “맞춤형 유연안정성 제고 정책을 통해 지금의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소하고 포용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