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필 생활경제부 기자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유통업계가 눈가리고 아웅식의 거짓말 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잃을 수 있는 위기에 놓였다. 요즘 소비자들은 똑똑하다. 대대적인 불매 운동이 아니더라도 신뢰에 흠집이 난 기업은 알아서 거른다. 즉, 소비자 신뢰가 제품력만큼이나 중요한 시대가 됐다는 의미다.

무신사 내 일부 입점 브랜드의 패딩충전재 혼용율 이슈부터 씰리침대의 인증 논란까지, 지난 1월 유통업계는 이슈로 가득했다. 특히 씰리침대의 인증 논란은 처음이 아니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의 뭇매를 맞고 있다.

씰리침대는 지난해 11월 출시한 모션베드 모션플렉스의 전자파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판매를 시작했다. 현재는 해당 제품 판매를 중단했지만 이로 인해 기존 구매 고객들의 배송일 지연되면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분노하는 포인트는 ‘거짓말’이다. 2019년 6종 모델 497개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문제를 일으킨 바 있다. 이후 2023년 또 다시 라돈 인증을 받지 않은 상태로 제품을 판매해 논란이 됐다.

일부 고가의 수입 모델과 단종됐거나 단종 예정인 제품을 인증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다. 제품 인증을 받은 것처럼 대외적으로 설명했다. 확인 결과 일부 고가의 수입 모델과 단종됐거나 단종 예정인 제품은 인증을 제외한 채 영업을 이어갔다.

2019년 당시 씰리침대는 자사 일부 제품에서 라돈이 발생하자 “위탁 생산기업이 공정상 착오로 우리가 주문하지 않은 메모리폼을 침대 제작에 사용했다”며 책임을 하청기업에 전가했다. 이에 하청기업이 “씰리와의 계약에 따라 씰리에서 지정한 부품을 사용해 씰리가 요청한 작업 지시에 의해 메모리폼을 조립했으며 공정상 착오는 없었다”고 반박했다.

결국 화살은 책임 회피에 급급했던 씰리침대의 문제 대응 태도에 소비자들은 불신은 더욱 커졌다. 이번에 불거진 전자파 인증에서도 소비자를 대하는 씰리침대의 태도는 다시 한 번 고스란히 나타난다.

여기까지 오자 씰리침대의 A/S 대응도 또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소비자가 A/S를 맡긴 제품이 아닌, 매장 전시용 매트리스가 마치 A/S를 마친 제품인 냥 배송된 것이다. 이때도 씰리침대는 소비자 스스로 알아내 항의를 하자 부랴부랴 뒷수습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법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일부 제품 중 하나라도 인증을 받지 못한 제품이 있다면 전제품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서는 안된다”며 “이는 소비자를 기망하는 행위이자 속임수에 해당한다”고 비판했다.

씰리침대가 전자파 미인증 제품을 판매해 논란에 휩싸였다. (자료=씰리코리아 홈페이지)

이번 전자파 미인증 사태도 씰리침대의 '또 거짓말'이라는 점에서 소비자들은 분노한다.

라돈 미인증 논란이 발생한 지 2년만에 또 다시 전자파 미인증 사태가 발생하면서 씰리침대의 기업 신뢰도에도 흠집이 났다. 미인증 사례는 소비자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국립전파연구원 측은 “인증받지 않은 제품은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이번 씰리침대의 전자파 미인증 사태에 경보를 울리기도 했다.

정부도 지난달부터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안전성 조사를 확대한다는 방침을 내걸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 1월 15일 위해제품으로부터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올해 제품 안전성조사 계획을 발표하고 해외직구 제품 1000여개에 대한 안전성 조사 확대, 경찰·지자체 등과 합동단속 강화, 리콜사업자 관리 강화 등을 중점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화재·사고 등 안전 우려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국내 유통 4700여개 제품을 집중 점검한다.

소비자들은 똑똑하다. 더 이상 광고만 보고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 그만큼 기업의 신뢰도와 진실성은 시장에서 중요한 척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글로벌 침대 기업 씰리침대가 한국 시장에서 ‘거짓말쟁이 기업’으로 낙인 찍히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이라도 진실된 사과와 명성에 맞은 안정성 인증, 투명한 인증 절차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