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자회사 설립' 두고 의견 분분..지배구조 개편 초석 vs 지분 승계와 별개

모듈·부품 제조 전담 자회사 11월 공식 출범
생산 효율성 제고 및 미래 신사업 강화 목적
"사업구조 개편일 뿐 지배구조 개편 아냐" 부인

이정화 기자 승인 2022.08.25 12:51 의견 0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부품을 하나로 합치는 모듈과 부품 제조를 전담할 2개의 자회사를 만든다. 사진은 현대모비스 충주 수소연료전지공장 전경. [자료=현대모비스]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현대모비스가 미래 모빌리티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사업 재편에 나선다는 깜짝 소식에 업계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특히 현대모비스의 '자회사 설립'을 두고 '지배구조 개편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과 '수익성 낮은 사업 부문을 자회사로 돌리는 작업일 뿐 지분 승계와는 별개'라는 의견이 뒤엉키는 상황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자동차 부품을 하나로 합치는 모듈과 부품 제조를 전담할 2개의 자회사를 만든다. 다음 달 중 임시 이사회를 통해 자회사 설립 안건에 대한 승인 여부를 결정하고 오는 11월 공식 출범시킬 계획이다. 현대모비스가 새로 생겨나는 법인의 지분 100%를 보유하며 직접 거느리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는 울산과 화성, 광주 등에 있는 모듈공장 생산조직을 합치고 에어백과 전동화, 제동 등 핵심 부품 생산조직을 통합할 방침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자회사 설립에 대해 "생산 부문은 신설 법인이 전담하면서 제조 기술 내재화에 주력하고 모비스는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연구개발을 담당한다"고 설명했다.

부품과 모듈 생산을 자회사에 맡기면서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신사업을 강화하겠다는 포부다. 실제로 그간 모듈과 부품 사업의 영업이익률은 1%에도 못 미쳤다. 더욱이 모듈과 부품사업 자회사가 별도 영업망을 통해 납품처를 확대할 수 있게 되면서 현대차와 기아에만 쏠렸던 납품처가 한층 다양해질 것이란 기대감도 높아진다.

하지만 이번 사업 구조 변화를 두고 업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현대차그룹이 지배구조를 개편하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시각이 나오면서다. 그도 그럴 것이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8년 현대모비스를 핵심 부품 부문과 모듈·AS부문으로 분할한 뒤 현대글로비스가 모듈·AS부문을 합병하는 식의 지배구조 개편을 시도한 적이 있다.

일부에선 현대모비스의 이 같은 자회사 설립이 생산 안정화를 위한 행보일 뿐 지분 승계 등 지배구조 개편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해석한다. 이번 생산 부문 분리는 지난 2018년 당시 추진했던 모회사의 주요 사업부를 분리해 자회사를 세우는 '물적분할'과 달리 사업 구조가 그대로 유지돼서다.

한편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편은 ▲기아차와 현대제철이 가진 현대모비스 지분(23%) 해소 ▲순환출자 해소 ▲정몽구에서 정의선 회장으로 이어지는 지분 승계 작업으로 정의된다.

이에 대해 최남곤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이번 현대모비스의 제조 부문 분리 후 자회사 설립은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 승계와는 별개의 건으로 보이고 지배구조 개편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수익성이 낮은 사업 부문은 자회사로 돌리고 수익성 높은 사업 부문과 성장성이 기대되는 영역을 현대모비스에 남겨 놓겠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현대모비스는 궁극적으로 현대차 그룹의 최상위 지배회사로 포지셔닝 될 것"이라며 "결국 정몽구 전회장에서 정의선 회장으로 7.17%의 현대모비스 지분 승계는 이뤄질 것이고 궁극적으로 정의선 회장은 현대모비스 중심으로 보유 지분을 재편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

이처럼 사업구조 새단장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현대모비스는 신설 계열사에 입사하는 직원들에게 그룹 계열사에 준하는 임금과 복지 수준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번 자회사 신설로 사내하청은 모두 사라질 예정이다. 그동안 100% 사내하청에 가까운 방식으로 공장을 운영해왔는데 이번에 약 10개 협력사의 6000명에 이르는 인력을 모두 자회사 정규직으로 고용한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대법원이 포스코 사내하청 노동자 59명을 포스코 노동자로 인정하는 판결을 내놓은 만큼 현대모비스도 사내하청의 법적 리스크가 커진 데 따른 대응책을 펼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이번 자회사 신설은) 불법 파견 리스크를 해소하고 생산 효율성과 전문성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보고 있다"면서 "사업 구조 개편이 지배구조 개편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