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지난 4년간 해외에서 사망한 국민이 56% 넘게 늘었지만 관련 예산은 사실상 동결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종합적인 안전망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년 한해 동안 해외에서 국민 1410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연합뉴스)
8일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이 외교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동안 해외에서 사망한 국민은 141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과 비교해 약 56.1% 증가한 수준이다.
4년간의 해외 체류 사망자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단순 사망이 3594명으로 가장 많았다. 살인 피해는 75명으로 확인됐다.
특히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폭력·범죄 피해로 인한 사망이 지속해서 발생하는 추세다.
반면 외교부가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 편성한 예산은 2021년 139억원에서 올해 140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국민 1인당 연간 273원에 불과한 것이다.
해외에서 국민이 사망했을 경우 정부에서 취한 대응도 사실 확인과 시신 운구 지원에 머물렀다.
강 의원은 "립서비스식 보호정책으로는 국민의 생명을 지킬 수 없다"며 "재외국민 보호 예산 확충과 재외공관 전담 영사 배치를 포함한 인력 증원 등 종합 안전망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