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추석 연휴를 보내고 난 후 과식과 스트레스로 인한 ‘명절증후군’ 환자가 늘고 있다. 두통, 소화불량, 우울감 등 다양한 신체·정신적 증상이 나타나며 경제활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추석 연휴를 보내고 난 후 과식과 스트레스로 인한 ‘명절증후군’ 환자가 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명절증후군은 명절 기간 쌓인 스트레스와 과도한 음식 섭취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특히 가족 모임과 집안일로 인한 근육통과 피로, 정신적 불안과 우울 증상도 급증하고 있다.

민족 최대 명절 추석을 지나면서 가족과 친지가 모이고 과음과 과식, 수면 부족, 정신적 긴장감이 쌓이기 쉽다. 이로 인해 ‘명절증후군’ 환자가 급증한다. 두통, 소화 불량, 근육통부터 우울감과 무기력함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장시간 운전과 집안일은 목, 어깨, 허리와 손목에 무리를 주어 손목터널증후군 등 근골격계 질환 위험도 커진다.

전문가들은 운전 시에 1~2시간 간격으로 휴게소에서 휴식하며 스트레칭하는 것을 권장한다. 반복적인 손목 사용을 줄이고 통증이 있으면 휴식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명절 음식은 튀김과 전, 고칼로리 음식이 많아 과식 시 체중 증가와 소화 장애가 유발된다.
특히 떡과 빵 등 당분이 많은 후식은 혈당을 급격히 올려 당뇨 환자에게 위험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식후 가벼운 산책이나 자전거 타기 등 운동이 혈당 조절과 소화 촉진,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