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지난 5년간 중고등학생의 학력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파악되면서 대책마련에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5년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의 학력 수준이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픽사베이)

8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2020∼2024년 시도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따르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모두 교과 전체에서 '3수준 이상' 성취수준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의 국어, 수학, 영어 학업 성취수준 현황과 변화 추이를 분석하기 위해 매년 중3과 고2 전체 3%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작년 9월 진행된 평가에는 전국 524개교에서 2만7606명의 중·고교생이 참여했다.

교과별 학업 성취 수준은 4수준(우수학력), 3수준(보통학력), 2수준(기초학력), 1수준(기초학력 미달) 등 4단계로 분류된다.

문제는 중3과 고2의 3수준 이상 비율이 2020년과 비교해 하락했다는 점이다.

중3의 '3수준 이상' 학생 비율은 2020년 국어 75.4%, 수학 57.7%, 영어 63.9%였다. 하지만 작년에는 국어 66.7%, 수학 48.6%, 영어 61.2%로 각각 8.7%포인트, 9.1%포인트, 2.7%포인트 줄었다.

고2의 보통·우수학력 비율은 2020년 국어 69.8%, 수학 60.8%, 영어 76.7%로 확인됐다. 반면 작년에는 국어 54.2%, 수학 57.2%, 영어 72.4%로 각각 15.6%포인트, 3.6%포인트, 4.3%포인트 감소했다.

기초학력 미달인 1수준 비율은 전체 과목 중 국어에서만 상승했다.

중3의 국어 기초학력 미달률은 5년 새 3.7%포인트 증가했다. 고2는 같은 기간 2.5%포인트 늘었다.

진선미 의원은 "국어 과목의 기초학력 미달률이 증가한 것은 교과목 전반에 지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며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제도가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