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서울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다시 활성화되는 모습이다.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에 비강남권 한강벨트 중고가 거래가 급증한 효과로 분석된다.

9월 서울의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이 21.1%를 기록했다. (사진=연합뉴스)

8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186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로 전월 대비 4%포인트 이상 증가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이 크게 줄어 왔다. 특히 상대적으로 고가 아파트의 감소 추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 6월 28.2%였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8월에 17.0%로 급감했다. 하지만 지난달 20%를 넘기면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15억원 초과 아파트 가운데 15억 초과∼3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19.4%를 차지했다. 9·7대책 이후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성동·마포구에서는 전용 59㎡ 실거래가 20억원 돌파 단지들이 속출했다.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 금호파크힐스 전용 59.9㎡는 역대 최고가인 20억5000만원에 실거래됐다. 직전 거래가에 비해 1억5000만원 높은 수준이다.

마포구에 아현동에 있는 래미안푸르지오1단지 전용 59.9㎡도 21억5000만원에 계약됐다.

9억∼15억원 이하 거래 비중도 7월에 29.1%로 감소한 뒤 지난달 36.3%로 상승했다.

반면 강남3구 아파트가 집중된 30억원 초과∼50억원 이하 비중은 전월 대비 2.0%포인트 줄었다. 5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도 0.2%로 감소했다.

9억원 이하 중저가 비중 역시 절반 이하로 하락했다. 지난달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낮은 42.6%에 머물렀다.

시장에선 추석 이후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을 주시하는 분위기다.

정부는 9·7대책에서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40%로 낮췄다. 국토부에서는 공공사업이 없는 단일 행정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마포구 한 공인중개사는 "현재 거래량 증가는 규제지역으로 묶여 대출 금액이 줄거나 갭투자가 막히기 전에 사두려는 매수자들이 선취매에 나선 영향이 크다"며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 한동안 거래 시장도 위축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