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9월까지의 전국 아파트 분양 물량이 지난해 수준을 밑돌았다. 이에 따라 공급 불안 우려가 커지는 형국이다.
5일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민간 아파트 분양물량(임대 포함)은 총 14만8836가구로 집계됐다.
9월까지의 아파트 분양 물량이 15만가구에 미치지 못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는 주택시장이 달아올랐던 2021년 연간 분양물량 37만7000가구의 40%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분양 시장이 위축됐던 지난해(24만4000가구)보다도 10만가구 가까이 적다.
건설업계가 여전히 프로젝트 파이낸싱(PF)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데다 지방 주택시장 침체로 미분양이 적체되며 신규 분양을 중단하거나 연기한 곳이 많은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 아파트 미분양 물량은 6만6613가구로 전월(6만2244가구) 대비 7.0%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도 2만7584가구로 1.9% 증가했다.
서울을 제외하고는 청약 열기도 작년만 못했다. 올해 9월까지 전국에서 분양된 아파트의 청약경쟁률은 평균 7.75:1로 지난해 평균 경쟁률(12.37:1)보다 낮았다. 반면 서울의 청약 경쟁률은 평균 133.45:1로 작년(104.23:1)보다 높다.
건설업계는 일단 이번 추석 연휴 이후 신규 분양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연휴가 길어진 상황에서 이 물량이 모두 분양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11월과 12월 분양 대기 물량을 합해도 4분기 분양 물량은 9만가구를 밑돌게 된다. 올해 연간 물량도 작년 수준에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2017년 이후 줄곧 30만~37만가구 선을 유지했다. 그러나 고금리와 PF 문제가 본격화한 2023년 20만7000여가구로 급감한 뒤 올해까지 3년 연속 25만가구를 밑돌고 있다.
특히 올해 9월까지 분양물량이 1만가구에 그친 서울은 4분기 대기 중인 물량을 포함해도 연간 분양물량이 2만가구 남짓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정비사업 지연과 공사비 갈등 등이 원인으로 향후 공급 부족과 집값 불안 우려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