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6·27 대출 규제 이후 주춤하던 서울 아파트 거래가 다시 늘어나고 있는 분위기다.
21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20일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8월 매매 거래량(이하 계약해제 건 제외)은 총 4017건으로 7월의 3945건을 넘어섰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21개 구의 8월 아파트 거래량이 7월 거래량을 넘어섰다.(사진=연합뉴스)
서울 25개 구 가운데 21개 구의 8월 거래량이 7월 거래량을 넘어섰다. 한강벨트 지역을 중심으로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아파트값 상승 폭도 커지는 모양새다. 8월 거래량은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열흘 가까이 남아 있는데 이미 7월 거래량보다 많은 것이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월에 1만건을 넘어섰다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조건부 전세자금대출을 중단한 6·27 대출 규제 이후 7월 거래량은 4000건 미만으로 줄었다.
지난달부터 다시 거래량이 늘기 시작하면서 이 추세가 이어지면 8월 거래량은 7월보다 1000건 정도 많은 5000건 수준까지 회복될 전망이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과 대출 규제의 영향이 적은 강북의 거래량이 많이 늘었다. 성동구는 현재까지 8월 매매 신고 건수가 총 197건으로 7월(102건)의 2배 수준(93.1%)을 기록하며 25개 구 가운데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또 성북구(329건)가 전월 대비 67.0% 증가하며 뒤를 이었다. 강동구(65.3%), 중구(48.6%), 마포구(44.2%), 동작구(36.6%), 광진구(24.6%) 등 한강벨트 위주로 거래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에 비해 6억원 대출 규제의 타격이 큰 강남 3구와 양천구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4개 구는 8월에도 7월 거래량을 밑돌고 있다.
강남구는 20일 현재까지 신고된 8월 거래량이 96건으로 7월(312건) 대비 69.2% 줄었고, 송파구는 134건으로 7월(366건) 대비 63.3% 감소했다.
또 서초구는 87건으로 7월(195건) 대비 55.4%, 양천구는 122건으로 7월(174건) 대비 29.9% 각각 감소했다.
강북 한강벨트 중심의 거래량 증가는 이달에도 이어지는 분위기다. 특히 성동구의 9월 거래 건수는 거래 신고 기한이 다음 달 말까지인데도 벌써 104건이 계약됐다. 이는 이미 7월(102건) 거래량을 뛰어넘었고 8월 신고 건의 52.8%에 달하는 수준이다.
동작구도 현재까지 9월(96건) 거래 신고 건이 8월(183건)의 절반을 넘어섰다.
한강벨트의 거래량 증가는 아파트값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성동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41% 올라 지난주(0.27%)보다 상승 폭이 크게 확대됐다.
지난 8월 셋째 주 0.15%에서 마지막 주 0.19%로 오름폭이 커진 뒤 4주 연속 상승 폭이 커지는 중이다. 또 마포구는 지난주 0.28%, 광진구는 0.26% 오르며 각각 전주(0.17%, 0.20%)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들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확대 가능성에 매수세가 몰리며 거래 증가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성동구 성수1가를 비롯해 금호동, 옥수동 일대도 매수 문의가 줄을 잇는 것으로 알려진다.
금호동 신금호파크자이 전용 59.9㎡는 이달 들어 연초 대비 4억원이 급등한 최고 18억1400만원에 팔렸고, 전용 84.9㎡는 이달 1일 최고 20억7000만원에 팔리며 처음으로 20억원이 넘는 등 이달 들어서만 벌써 7건의 거래가 신고됐다.
또 금호동 래미안하이리버 아파트는 전용 59.9㎡가 이달 1일 역대 최고가인 17억3000만원에 팔리는 등 9월 들어 5건의 계약이 신고됐다.
전문가들은 한강벨트 등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당분간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공공주도의 정부 9·7 공급대책에 대한 실망감과 다음 달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가능성도 집값 불안을 부추기는 요인이다. 다만 이러한 분위기가 서울 전체 상승세를 이끌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반응도 많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8, 9월 들어 거래가 늘면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 6월 거래량 대비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라며 "정부가 규제 카드를 쓸 가능성이 큰 만큼 다음 달 추석이 집값의 1차 분수령, 이후 토허제나 규제지역 확대 지정이 2차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