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함께 미국 관세 조치로 인해 피해를 입은 기업에 총 267조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실시한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과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 등을 소집해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이 세 위기에 대응해 내년까지 총 172조1000억원을 지원한다. 올해 들어 이미 63조원이 공급됐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조3000억원), 수출 다변화(33조3000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000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4대 분야다.
5대 금융지주는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한다. 연초부터 지난 달 말까지 약 45조원을 공급했다.
지원 프로그램은 금리 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까지 다양하게 구성됐다.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도 추진한다. 수출 기반 주력 산업의 사업재편 및 재무 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상품이다.
펀드 지원 대상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다.
원활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펀드 대비 확대(5%→10%)한다. 펀드 조성 금액의 60% 이상을 주력 산업에 투자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관세지원은 숫자도 중요하지만 절박하고 절실한 피해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며 “금융권이 스스로 책임의식을 가지고 챙겨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