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C 현산, '안전' 논란에 2분기 영업이익 감소..하반기 반전 노리나

송정은 기자 승인 2021.07.29 14:42 의견 0
[자료=HDC현대산업개발]

[한국정경신문=송정은 기자] '광주 붕괴 참사' 부실 공사 논란과 2분기 영업이익 감소라는 악재를 맞은 HDC현대산업개발이 하반기에 예정된 대형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반전에 나설지 주목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지난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2분기 잠적실적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HDC현대산업개발의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도 같은기간 대비 28.8% 하락한 104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연결기준 8124억원을 기록했으며 이 역시 지난 해 같은 기간보다 15.1% 하락한 수치다.

순이익 실적도 좋지 않았다. 순이익은 788억원으로 전년도 동기 대비 22.1% 하락했다.

하락의 원인으로는 자체사업 입주 물량의 부족과 고전을 면치못하고 있는 분양 부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HDC현대산업개발은 29일 오전 국토부가 발표한 '21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공시'에서도 순위상승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국토부는 건설사업부문을 분할해 DL이앤씨를 신설한 대림산업의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전년도 3위에서 8위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년도 4위~8위 순위를 기록했던 GS, 포스코, 대우, 현대ENG, 롯데 등의 건설사가 순위를 한 계단씩 끌어올렸다는 말도 덧붙였다.

반면 전년도 9위를 기록했던 HDC현대산업개발은 대림산업의 순위하락에도 올해 발생한 여러 이슈들로 인한 매출과 이익 하락으로 전년 대비 같은 순위인 9위를 기록해 DL이앤씨 바로 아래에 위치했다.

상반기 건설업계 가장 큰 이슈였던 '광주 붕괴 참사'의 시공사로서 책임 논란에 휩싸여 있는 것도 HDC현대산업이 극복해야할 요소다.

광주경찰청 수사본부는 지난 28일 '광주 동구 학동 4구역 철거 건축물 붕괴사고' 중간수사 결과에서 사고 원인을 발표했다.

경찰이 밝힌 사고 이유로는 ▲무리한 철거 방법 선택 ▲감리·원청 및 하도급업체 안전 관리자들의 주의의무 위반 ▲가로로 미는 힘인 횡하중에 취약한 철거건물에 지속적으로 가해진 불법 철거 등이 있다.

무엇보다 철거 과정에서 공사의 공동 수급자로 계약을 체결한 뒤 실제 공사에 참여하지 않은 이른바 '업체 간 지분따먹기'과 '불법재하도급'을 원청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이 인지하고도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난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찰은 붕괴사고와 관련해 현재까지 23명을 입건해 조사 중이며 HDC현대산업개발 현장소장 서 모씨를 비롯한 총 6명을 구속했다.

또 올 2분기 건설현장에서 사망사고가 가장 많았던 건설사로도 집계됐다. 광주 붕괴사고 현장에서만 총 9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원인과 책임자를 규명하는 수사는 사실상 마무리됐지만 업체선정과 재개발 비위와 관련된 수사는 지속될 계획이어서 원청업체인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한 비난 여론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다만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하반기 회복세에 대한 기대감도 엿보인다.

먼저 2분기 영업이익 감소에는 56억원의 하자소송 충당금 설정 등의 일회성 비용이 끼친 영향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또 HDC현대산업개발측은 침체됐던 수주 실적을 확대해 반등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지난 24일에는 포스코건설과 구성한 컨소시엄으로 인천 갈산1구역 재개발 사업을 수주했으며 하반기에는 서울 노원구의 '광운대역세권' 개발사업 등의 대형 프로젝트도 남아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HDC현대산업개발의 부진한 2분기 실적과 정체된 시공능력 순위 등으로 넘어야할 산이 많지만 하반기 예정된 프로젝트와 수주 실적으로 인해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며 "다만 광주 붕괴 사태로 인한 '안전' 논란에서 자유롭지 않은 만큼, 최근 대형 건설사들이 선보이고 있는 '예방적 안전 조치' 등 안전과 관련한 강력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