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건설 현장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한 근로자 10명 중 9명은 중소 사업장에서 발생했다. 정부는 건설 현장 사고에 대해 대형 건설사를 겨냥하지만 실상은 소규모 회사의 안전 관리가 더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사고에 대한 책임을 바로 회사에 묻기 전에 발생원인을 먼저 살피는 현실적인 대책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2023년 기준 국내 건설업 사업장 32만1949개소서 발생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수는 486명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28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가장 최근 통계인 2023년 기준 건설업 사업장 32만1949개소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따른 사망자수는 486명이다. 건설 사업장 사망자수는 2020년 567명, 2021년 551명, 2022년 539명 등으로 감소 추세다.

2023년 기준 사망자 수를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5인 미만은 167명, 5~9인 76명, 10~29인 94명, 30~49인 21명, 50~99인 36명, 100~299인 63명, 300~499인 17명, 500~999인 9명, 1000인 이상 3명 등이다. 사실상 대형 건설사의 사업장은 300인 이상이 대부분인 점을 감안하면 사망자 94%가 중소 건설사에서 발생한 셈이다.

다르게 보면 대형 건설사가 그나마 안전관리에 신경쓰고 있다는 해석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대형 건설사가 진행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는 바로 언론 등에 노출되지만 지역이나 중소 현장의 사고는 알려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규모 사업장일수록 이정도는 괜찮을 것이라는 분위기가 있다"며 "지자체 등에서 현장 점검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렇게 중소 건설사의 안전 관리가 더 시급하지만 정부의 타깃은 여전히 대형 건설사다.

실제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산업재해 사망사고 책임을 물어 현대건설과 대우건설, DL그룹,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의 주요 건설사가 증인으로 채택됐다. 최근 포스코이앤씨의 산업재해 사망자 발생 사고 직후에는 면허취소 조치 등 강경한 규제를 암시하기도 했다.

건설사 안전관리 담당자는 "근로자가 많은 현장에서 사망자 수가 압도적으로 적다는 것은 그만큼 대형 건설사들이 안전관리에 신경쓰고 있다는 의미"라며 "건설 현장에서 불가피한 사고는 언제든 일어날 수 있고 회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때려도 버틸 체력이 있다는 시각으로 대형 건설사를 타깃으로 도마에 올리는 게 현실"이라며 "규모가 클수록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는 시각도 존중하지만 사고 발생시 무조건 회사 책임으로 돌리기보다 안전 매뉴얼 때문인지 이를 어긴 현장 및 근로자의 안전불감증 문제인지 등을 구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