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김미라 기자] 블록체인 프로젝트 SUT가 폴리곤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공식 완료하며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기존 대비 약 10배 향상시켰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전환은 기존 메인넷에서 발생하던 속도 저하와 높은 가스비 문제를 해결하고, 대규모 사용자 트랜잭션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인프라 개선 차원에서 진행됐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SUT가 폴리곤 네트워크로의 전환을 공식 완료했다. (사진=이더랩)

SUT는 폴리곤 네트워크의 이더리움 호환성과 확장성을 기반으로 디앱 개발자들이 손쉽게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 특히 결제·리워드형 프로젝트와의 기술적 호환성이 강화돼 실사용 중심의 생태계 확장에 유리하다는 평가다.

회사 관계자는 “폴리곤 전환 이후 처리 속도와 안정성이 동시에 향상돼, 대규모 사용자 기반 서비스에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폴리곤은 최근 ‘리오(Rio)’ 업그레이드를 통해 블록 확정 시간을 약 5초 수준으로 단축하고, 초당 5000건 처리 수준의 고성능 구조를 도입했다. 이로써 SUT는 거래 확정성 향상과 함께 노드 효율성, 가스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됐다. 또한 폴리곤의 ‘스테이트리스 검증’ 구조는 노드 운영자의 저장 부담을 줄여 더 많은 참여자가 네트워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환이 단순한 속도 향상을 넘어 SUT 생태계 확장의 발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블록체인 컨설팅기업 레버리지 퓨처의 헨리 유 대표는 “폴리곤 전환은 이더리움 호환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확보한 전략적 결정”이라며 “거래 비용 절감과 빠른 확정성을 기반으로 실생활 중심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국내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글로벌 레이어2 인프라를 활용해 경쟁력을 확보하는 흐름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내 블록체인 업계에서는 SUT의 폴리곤 전환을 계기로 ▲거래소 연동 ▲디앱 연계 ▲결제 솔루션 파트너십 등의 확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폴리곤 기반 서비스 간 상호운용성이 높아지면, 한국 프로젝트들의 글로벌 유통망 진입이 한층 수월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