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국내 주요 빅테크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 역대 첫 간담회를 가졌다. 이 원장은 빅테크들도 다른 금융업과 마찬가지로 이용자 보호가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11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빅테크 CEO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금감원은 11일 이 원장이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네이버, 카카오,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쿠팡, 배민 등 5개 빅테크 기업 CEO와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금감원이 설립 이래 빅테크 CEO와 간담회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소상공인연합회장도 참석했다.

이 원장은 “빅테크가 플랫폼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디지털 경제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빅테크에 있어서도 은행, 보험 등 다른 금융업과 마찬가지로 이용자 보호가 최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원장은 ‘엔쉬티피케이션’을 언급하면서 고객 차리를 최우선에 두고 플랫폼 운영의 공정성과 책임을 제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엔쉬티피케이션은 빅테크가 처음에는 양질의 컨텐츠와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지만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면서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고 플랫폼 이용자가 이탈하는 현상을 말한다.

소상공인 지원 강화도 강조했다. 이 원장은 정부 국정과제에 ‘온라인 플랫폼과 소상공인의 상생’이 포함돼 있다고 강조하며 합리적인 수수료 부과, 신속한 정산 등을 요청했다.

빅테크의 위험 관리 체제 구축도 논의됐다. 이 원장은 “빅테크 운영 리스크가 금융 시스템의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자체 위험 관리 시스템 구축을 요구했다. 아울러 금감원도 빅테크와 정기 협의체를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빅테크 CEO들은 빅데이터 활용 신용평가 고도화, 수수료 합리화 등 상생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