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발전공기업 통폐합이 예고되면서 확대될 조직의 수장을 놓고 관련업계의 관심이 모이는 모습이다. 특히 남부지역의 발전사의 경우 우수한 경영 능력이 입증된 만큼 결국 지역 특성 여부와 효율적 측면에서 희비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의 한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수증기 (사진=연합뉴스)
10일 발전업계에 따르면 정부 기조에 맞춰 한국동서발전과, 한국남부발전, 한국남동발전의 통폐합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은 기후에너지환경부 출범을 공식화했는 데 다음 스텝으로 발전사 통폐합이 예고된 상황이다.
권역별로 중부발전·서부발전은 중부통합발전사로 동서발전·남부발전·남동발전은 남부통합발전사로 합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남부 지역은 세 기관이 합쳐져 조직 규모가 대폭 확대된다는 점에서 첫 수장 자리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외부에서 새 인물이 임명될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너무 큰 변화는 조직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기존 발전사 사장 중에 한명이 담당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동서발전과 남부발전, 남동발전은 지난해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에서 모두 우수(A) 등급을 받은 기관이다. 당시 공기업 32개 가운데 A등급을 받은 기관은 해당 발전사를 포함해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 등 5곳에 불과하다. 게다가 세 기관 수장 모두 지난해 11월 임기를 시작했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공통점이 많다는 평가다.
발전업계는 결국 지리적 여건 등이 고려될 것으로 보고있다. 특히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을 놓고 경쟁하는 울산과 부산지역에 위치한 동서발전과 남부발전에 힘이 더해지는 분위기다. 에너지 상징성과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등이 인근에 있는 기관이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다만 남부발전의 경우 본인 건물이 아니라는 점에서 효율성 측면에서 리스크라는 평가다.
또 남부발전 사장이 수장이 되면 동서나 남동 사옥을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 데 이 경우 자리를 뺏는 모습으로 비춰져 내부 반발이 우려된다는 일부 시각도 존재한다. 남동발전은 지리적 여건은 불리하지만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선택지가 될 수도 있다.
발전업계 한 관계자는 “아무래도 손발을 맞춰온 직원들을 주로 활용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내부에서도 본인 발전사 사장이 수장으로 임명되기를 바라고 있을 것”이라며 “지역 균형을 위한 측면과 효율성, 지리적 장점 등이 고려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