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N기자] 홈플러스 노조의 ‘묻지마 공격’, 결국 직원 갈등만 부추긴다

김형규 기자 승인 2020.12.11 18:07 | 최종 수정 2020.12.11 18:33 의견 1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산하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가 지난 9월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 파트너스가 매각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자료=홈플러스 노조)

[한국정경신문=김형규 기자] 지난 10일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마트산업노동조합 홈플러스지부(이하 홈플러스 노조)는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인수하며 발생한 이자비용 때문에 홈플러스가 위기상황을 맞았다며 자료를 배포했다.

자료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4년간 영업이익 9711억원보다 2924억원 많은 1조2635억원을 이자비용으로 지출했다. 이어 홈플러스 직원들이 벌어들인 영업이익을 전부 MBK가 데려온 채권자와 투자자들에게 지급하고 그것도 모자라서 기존 부동산과 자산을 팔아 지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이는 사실과 다르다.

우선 홈플러스 노조가 주장하는 지난 4년간 영업이익보다 높은 이자비용을 지출했다는 것은 이자비용에 회계상 이자비용(비현금성 이자비용)을 포함했기 때문이다.

노조는 지난 4년간 영업이익 9711억원에 이자비용이 1조2635억원이므로 이자보상배율이 영업이익/이자비용으로 계산해 0.77이라고 했다. 하지만 이는 리파이낸싱 과정에서 대주단과 약정한 이자보상배율 EBITDA/이자비용으로 계산하면 4년 평균 2.06이다.

EBITDA는 ‘세전·이자지급 전 이익’ 혹은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을 말한다. 즉 이자비용·세금·감가상각비용 등을 빼기 전 순이익이다. 홈플러스의 지난 4년간 EBITA는 2조6024억원이었다.

최근 코로나19 악재와 유통업 규제, 온라인사업자와 경쟁 심화 등으로 대형마트 시장은 꽁꽁 얼어붙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인한 각종 비용 증가는 영업이익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4년간 대형마트 3사의 연평균 매출은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가 각각 0.9%, 4.9%, 8.3%씩 하락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측은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자산유동화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영업점 폐점은 사측 입장에서도 제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감수하는 고육지책이다.

홈플러스 노조는 사측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거듭된 파업과 근거 없는 비난으로 자산유동화를 방해하고 노사 갈등만 부추기고 있다.

이는 결국 재무구조를 개선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생존을 위한 투자 재원을 마련하려는 사측의 노력을 지연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는 지난해부터 홈플러스가 시행한 전직원의 정규직 전환으로 직원들의 고용 안정을 위한 노력을 저해하는 것이다.

현재 대형마트 시장은 끝 모를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가 끝이 나도 당장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이런 시점에 노사의 화합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투쟁할 때와 화합할 때를 가리는 것도 노조의 중요한 덕목이다. 이를 지키지 못한다면 노조는 결국 직원들의 갈등만 야기하는 조직이 되고 말 것이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