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추석 연휴 첫날인 3일 북한에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촉구하며 교류를 제안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추석 연휴 첫날인 3일 인천 강화군 강화평화전망대에서 실향민 가족들과 북한 황해북도 개풍군 일대를 바라보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이날 강화평화전망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남북 이산가족들이 생사 확인이라도 하고 하다못해 편지라도 주고받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남북의 정치의 책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북측에도 인도적 차원에서 (이런 조치를) 고려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꼭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는 지난달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교류(Exchange)·관계 정상화(Normalization)·비핵화(Denuclearization)'라는 'END 이니셔티브'를 선보인 뒤 나온 구체적인 첫 교류 제안이다.
당장의 대폭적인 관계 개선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지만 정치적 부담이 덜하면서도 추진 명분이 큰 이산가족 문제를 고리로 북한과 대화의 불씨를 살리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또 이산가족 '상봉'보다는 상대적으로 절차적 부담이 덜한 '생사 확인 및 편지 왕래'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는 점도 주목된다. 조금이라도 실현 가능성이 큰 부분부터 대화의 물꼬를 트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앞서 통일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제4차 남북 이산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조사 대상자 5103명 가운데 75.5%가 북한에 있는 가족·친지의 생사를 파악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지난해 말 기준 생존 이산가족 중 30.7%가 90세 이상 고령에 80대와 70대가 각각 34.8%와 18.5%로 70대 이상이 무려 84%에 달하는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