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그룹 경영진에게 기존 성공 방식에 안주하지 말고 기술혁신으로 위기를 돌파하라고 주문했다.
장 회장은 22일 포스코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2025 포스코포럼'에서 "기존 성공 방식에 갇히지 말고 위기감을 가져야 한다"며 "기술이 초일류 기업 포스코그룹의 미래를 여는 열쇠"라고 밝혔다.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22일 포스코 송도 글로벌R&D센터에서 열린 포스코포럼에서 기조강연자인 앤드류 맥아피 MIT 경영대학원 교수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사진=포스코홀딩스)
올해 7회째인 이번 포럼은 '대전환 시대, 무엇이 미래를 만드는가'를 주제로 이틀간 진행된다. 그룹사 전 임원이 참석해 사업 환경을 진단하고 성장 방안을 논의한다.
장 회장은 안전 문제도 강조했다. 그는 "안전진단 내용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위험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겠다"며 "국내 제조·건설 현장에 K-Safety 모범사례를 만들어 확산할 것"이라고 말했다.
앤드류 맥아피 MIT 경영대학원 교수는 기조강연에서 AI, 로봇, 양자역학 등 최신 기술혁신 시대의 기업 성장전략을 제시한다.
포럼은 △신모빌리티 △AI전환 △에너지 등 3대 메가트렌드별 세션으로 구성된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로 진화하는 모빌리티 혁신사례, AI·로봇 발전에 따른 제조업 변화, 전동화 중심 에너지 전환 대응전략 등을 다룬다.
장 회장은 취임 후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 경영비전 아래 철강사업 재건과 이차전지소재 경쟁력 확보 등 7대 미래혁신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포럼과 함께 그룹기술전략회의, 테크포럼 등을 통해 기술개발을 장려하고 사업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