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전국민 90%를 대상으로 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22일 시작됐다. 카드업계와 금융당국은 서비스·소비자경보 조치를 강화하면서 소비자의 쿠폰 발급·사용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전국민 90%를 대상으로 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사작됐다. (사진=연합뉴스)
22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가 개시된 가운데 하나카드와 신한카드는 각각 ‘소비쿠폰 가맹점 실시간 조회 서비스’와 ‘잔액통합관리 서비스’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상생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민생쿠폰 관련 편의성을 끌어올려는 조치다.
앞서 카드업계는 1차 쿠폰 접수 당시부터 소비쿠폰 가맹점 조회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이는 주소지와 매장 상호명을 기준으로 쿠폰 사용처를 찾아주는 서비스다. 하나카드는 여기서 더 나아가 지난달 11일 하나페이 앱에 ‘민행회복 소비쿠폰 주변 사용처 확인’ 기능을 추가했다.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소비쿠폰 사용처 정보를 안내해 실시간 쿠폰 사용에 있어 경험할 수 있는 불편을 개선한 것이다.
신한카드는 2차 쿠폰 접수를 앞두고 ‘잔액통합관리 서비스’를 구축했다. 1차 쿠폰을 전부 사용하지 않은 고객이 2차 쿠폰 발급 후에도 잔액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 편의를 보완했다. 이와 함께 시니어 세대를 위한 ‘꿀팁을 제공하기로 했으며 ‘점자카드’ 인프라를 소비쿠폰 선불카드에 적용해 시각장애인 역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카드사들이 소비쿠폰 사용 지원에 힘쓰는 가운데 가운데 금융당국은 최근 금융소비자 대상 소비자경보를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했다. 2차 쿠폰 신청·지급과 관련해 심각한 스미싱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1차 쿠폰 접수 당시 총 430건의 스미싱 문자 피해가 발생한 바 있다. 이 중에는 정부24를 사칭한 악성앱 유포 사례도 존재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당국은 소비자경보를 상향하면서 금융회사에서 발송되는 소비자 안내에는 URL주소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스미싱 피해가 발생할 경우에는 신속하게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이에 카드업계 관계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관련된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카드사의 경우 정부 정책과 상생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며 “고객들이 소비쿠폰을 발급 받거나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방지에도 신경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상위 10%를 제외한 국민 90%에게 지급된다. 금액은 대상 구분 없이 1인당 10만원이다. 2차 쿠폰 신청일은 다음달 31일까지며 11월 30일까지 사용가능하다. 첫 주에는 출생연도 끝자리에 따라 요일별로 신청 받지만 이후에는 요일 상관없이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