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산업통상자원부는 특허청과 서울 강남구 한국지식재산센터 대회의실에서 민관 정책협의회를 열어 지식재산 정책과 산업정책의 연계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자료=산업부)

[한국정경신문=김수은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특허청과 함께 지식재산 기반의 기술협력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특허청과 공동으로 서울 강남구 한국지식재산센터 대회의실에서 '지식재산권 기반의 산업정책 수립을 위한 민관 정책협의회'를 열어 지식재산 정책과 산업정책의 연계 강화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협의회에는 산업부 성윤모 장관과 특허청 박원주 청장, 한국발명진흥회 고준호 부회장 등 산하기관 관계자를 비롯해 후성 송한주 대표 등 10개 기업 최고경영자가 참석했다.

이날 행사는 일본 수출규제 시행 1년을 맞아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특허정보를 활용한 기술개발 성과와 우수한 지식재산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업의 현장의 어려움을 듣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와 특허청은 앞으로 지식재산에 기반한 산업정책 추진을 위해 ▲산업지능화 ▲IP-R&D ▲기술금융 ▲해외진출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두 기관은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산업에 적용해 고부가가치화하는 '산업지능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특허와 같은 공공 빅데이터를 활용해 선도적인 데이터 활용사례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특허청이 지난달 문을 연 '특허 빅데이터 센터'를 활용해 올해 미래자동차·드론·인공지능·신재생에너지·사물인터넷 가전 등 5개 업종에 대한 특허를 분석해 정책 수립에 활용토록 지원할 예정이다.

특허 빅데이터에 기반한 산업기술 R&D 방향을 제시하는 'IP-R&D(특허 기반 연구개발)'을 확대한다. 지난해부터 소·부·장 관련 산업부 300개 과제에 적용하기 시작한 IP-R&D를 다른 분야로 확장한다.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 등 국가 핵심 분야에도 적용할 방침이다.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를 위해 우수한 지식재산을 보유한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기업이 보유한 특허를 담보로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가치평가 비용도 지원한다. 특허청의 'IP-Market'과 산업부의 'NTB' 등을 활용한 기술거래 정보도 확대하기로 했다.

해외 진출에 있어서는 산업부가 신남방 국가와 공동 R&D 수행 등 기술협력 강화를 위해 설치할 예정인 '한-아세안 산업기술혁신기구'와 연계해 특허청의 우수한 특허 시스템을 함께 보급할 예정이다.

산업부 성윤모 장관은 “신남방 국가와 공동 R&D 수행 등 기술협력 강화를 위해 설치할 예정인 '한-아세안 산업기술혁신기구'와 연계해 특허청의 우수한 특허 시스템을 함께 보급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허청 박원주 청장은 "4차 산업혁명이 더욱 가속화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지식재산 선점에 기반한 초격차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