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국내 박테리아·바이러스 관련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당 분야 최신정보와 미래 전략 등 깊이 있는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2022 바이러스 박테리아 트렌드 컨퍼런스가 다음 달 열린다.

국제 바이러스·박테리아 산업박람회인 ‘ViBac 2022’ 주최 측은 7월 18~19일 양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22 바이러스 박테리아 트렌드 컨퍼런스’를 박람회와 동시에 개최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

국내 박테리아·바이러스 전문가 한자리에 모이는 ‘바이러스·박테리아 트렌드 컨퍼런스’가 7월 18~19일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자료=메이커스유니언]

여타 제약·바이오 박람회와 달리 민간 주도로 개최하는 제1회 국제 바이러스 박테리아 산업박람회(ViBac2022)는 보건복지부와 서울시, 아산시가 후원에 나선 국내 첫 글로벌 산업박람회다. 현재까지 미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인도,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등 10개국 25개사 바이어들이 참가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학계, 병원, 연구소 등 18명의 최고 전문가가 참여하는 이번 트렌드 컨퍼런스에서는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를 이용한 산업의 세계 ▲팬데믹 대응 코로나19 병원 운영 사례 ▲백신의 비즈니스 트렌드 ▲체외진단 분야의 추진 전략 ▲팬데믹시대 노인건강 증진을 위한 소통의 역할과 전략 등을 주제로 최신 동향과 우수 사례 등을 담은 유익한 발표와 정보 교류가 이뤄질 전망이다.

첫날 1부 세션은 한국폴리텍대학 전형식 명예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이제희 CJ바이오사이언스 생물정보연구소장이 ‘마이크로바이옴의 세계 및 응용’이란 주제로 첫 마이크를 잡는다. 이어서 한국미생물학회 부회장을 역임한 한남대 김인섭 교수의 ‘바이러스 안전성 평가-바이러스 테스트’, 싸토리우스코리아바이오텍 강성균 시험책임자의 ‘바이러스 안전성평가-바이러스 제거 시험’ 발표가 차례로 진행된다.

2부 세션에서는 인천가톨릭대학원 헬스케어환경디자인학과 노태린 교수가 좌장에 오른다. 지난 4월 국내 대학병원으로는 처음으로 감염병검사센터를 개소한 은평성모병원의 이제훈 센터장이 나와 ‘코로나19와 병원의 동고동락’이란 주제로 주기적인 감염병 대유행에 대한 선도적 진단검사 수행과 관련해 발표한다. 이어 현 대한전문병원협의회 부회장인 김경식 베스티안재단 이사장의 ‘재난 상황에서 병원기능의 변경 사례’와 김상일 양지병원장의 ‘코로나19 대응 양지병원 운영사례’ 등 코로나19 상황 속 의료기관의 실적용 우수사례가 소개된다.

둘째 날 2부 세션은 ‘백신 비즈니스 트렌드’라는 큰 주제로 안상점 전 얀센백신 대표가 좌장으로 나서 다양한 백신 연관 사업에 대해 심도 있게 짚어본다. 유바이오로직스 백영옥 대표가 ‘박테리아 백신의 비즈니스 전략’을, 연세대학교 생명과학기술학부 박송용 교수가 ‘바이러스 백신의 비즈니스 전략’에 대해 발표한다. 끝으로 차백신연구소 염정선 대표는 ‘백신 면역증강제의 산업화 전략’이란 발표를 통해 면역증강제의 해외 산업화 사례 및 국내 개발 전략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2부 세션은 박해준 전 에스디바이오센서 부사장이 좌장을 맡아 체외진단 분야 추진 전략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한다. 정석 고려대학교 기계공학부 교수는 ‘체외진단의 세계’를 주제로, 분자전문 진단 기업 씨젠의 김성열 전무는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분자진단 사업전략’을 중심으로, 현재 체외진단기업협의회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민전 웰스바이오 사장은 ‘수요중심 체외진단 제품의 R&D전략’을 주제로 각각 발표에 나선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유승철 교수가 좌장을 맡아 ‘팬데믹 시대, 노인건강 증진을 위한 소통의 역할과 전략’이란 주제의 논의가 이어진다. 이화여대 연령통합고령사회연구소 이하나 교수의 ‘노년층의 온라인 소통과 문제적 스마트폰 사용’, 임유진 숭실대 경영대학원 겸임교수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건강 임파워먼트가 노인과 의사와의 소통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 대한 발표가 진행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약바이오사업단 김용우 단장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온 세계 국가들이 바이러스, 박테리아 연관 산업에 대한 투자 및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면서 “이들 산업 대표 기업들과 각계각층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바이러스 박테리아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집중 분석하고 상호협력 방안과 미래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 교류할 수 있는 행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