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국내 건설사들이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도 반등을 위한 모멘텀을 확보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무엇보다 새로운 사업을 모색해야 할 때지만 산업재해 리스크 관리에만 급급한 분위기다. 현장 사고 발생시 후폭풍에 대한 우려 때문인 데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건설사들의 침체된 흐름이 장기화되는 모습이다.건설 현장 (사진=연합뉴스)

26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수주·착공 감소 등 선행지표 부진으로 올해 연간 건설투자는 약 9% 감소한 264조원에 머무를 것으로 분석된다. 내년에도 약 2%가량 소폭 회복하는 데 그치지만 이 또한 제한적 반등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에 업계에선 산업재해 리스크 관리에 급급하는 상황을 신사업 고민으로 전환하는 생산적인 분위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실제 올해 주요 건설사들의 실적은 전년 대비 부진한 성적표를 받았다. 지난해 경기침체와 계엄령 선포 등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기 때문에 올해는 기저효과에 따른 실적 회복이 예상됐다. 하지만 경기침체와 인건비 증가, 시멘트 가격 인상 등으로 반등은 없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경우 3분기 기준 매출액 3조900억원, 영업이익 1110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1.06%, 53.0% 급감했다. 건축 분야에서 매출액이 반토막 난 영향이 컸다.

현대건설은 3분기 매출액 7조8265억원과 영업이익 1035억원으로 같은기간 대비 각각 5.2%, 9.4% 감소했다. 대우건설도 3분기 매출액 1조9906억원, 영업이익 566억원으로 각각 21.9%, 9.1% 줄어든 실적을 공시했다.

건설경기 부진은 통계에서도 나타난다.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을 보면 3분기 18.6% 급락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해외 수주도 사실상 체코 원전을 제외하면 전년보다도 감소한 수준을 보이고 있어 경쟁력 하락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주요 건설사 한 관계자는 "연초만 해도 연말에는 건설경기가 점차 회복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상황이 악화된 지난해보다도 못한 실정"이라며 "내년에도 특별한 변화가 없다면 건설 분위기는 어두울 것 같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일부 건설사들은 신사업 육성보다 리스크 관리에만 집중하고 있다. 정부 기조상 산업재해 사고 한번으로 영업 중단을 비롯해 압수수색까지도 가능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신사업을 고민할 여유가 없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최근 정부의 강한 기조에도 산업재해 사고가 줄지 않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현장 특성상 처벌보다는 '안전인센티브' 같은 당근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발생하는 현장 사고를 보면 건설사의 안전관리보다는 대부분 기저질환이 있거나 현장에서 안전수칙을 어겨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정부가 안전관리 예산을 적극 투입한 건설사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건설사들은 현장에서 안전수칙을 적극 이행한 근로자에 대한 포상 등으로 현장 문화를 바꿔나가는 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