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4년가량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16일 발표한 ‘2024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는 13.9배였다.

13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PIR은 월급을 고스란히 모았을 때 집을 장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서울에서 내 집을 가지려면 약 14년간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서울 다음으로 세종(8.2배), 경기(6.9배), 대구(6.7배), 인천(6.6배)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전국 임차 가구의 ‘월 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임차 가구 RIR)은 중간값 기준 15.8%로 전년과 동일했다.

전국 자가 보유율은 61.4%로 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자가점유율도 58.5%로 증가했다. 생애 첫 집 마련 기간은 7.9년으로 2개월 늘었고, 1인당 주거면적은 36.0㎡로 전년과 동일했다.

주택 만족도와 주거환경 만족도는 모두 소폭 상승했으며, 현재 주택 평균 거주 기간은 8.4년으로 5개월 증가했다. 주택 보유 필요성에 대해서는 86.8%가 긍정적으로 답했으나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청년 가구의 82.6%는 임차 거주, 신혼부부의 43.9%는 자가 거주, 고령 가구의 75.9%는 자기 집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