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가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증인 명단에서 빠졌다. 금융정보분석원의 제재 조치와 상장 절차 논란을 둘러싼 질의가 예정됐지만 국회 안팎에서 ‘불필요한 기업인 소환을 줄이자’는 분위기가 확산하면서 최종 명단에서 제외됐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가 ‘UDC 2025’에서 오프닝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두나무)

15일 정치권에 따르면 정무위는 전날 여야 간사 협의 끝에 오 대표를 증인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했다. 정무위원회는 지난달 오 대표를 금융정보분석원 제재와 이행소송, 졸속 상장 및 상장 폐지 문제 등과 관련해 채택했다.

금융정보분석원은 지난 2월 특금법 위반을 이유로 두나무에 영업정지 3개월과 이석우 전 대표에 대한 문책 경고를 통보했다. 두나무는 이에 불복해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최근 여야가 기업인 국감 출석을 최소화하는 원칙을 세우면서 기류가 바뀌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꼭 참석이 필요하지 않은 대표까지 부를 필요는 없다”며 “중복 채택된 증인들은 관련성이 높은 상임위에서 집중 질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 대표가 받을 예정이던 상장 절차나 자금세탁방지 관련 질의는 금융위원회·금감원 등 당국에 이관될 전망이다. 상장 기준은 금융위와 디지털자산거래소협의체가 함께 마련했고 자금세탁방지는 금융정보분석원이 관할하기 때문이다.

오 대표는 보건복지위원회 참고인 명단에는 남았다. 복지위는 두나무의 의료 플랫폼 ‘매디스태프’ 투자 경위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책임투자 이슈를 확인하기 위해 오 대표를 참고인으로 채택했다. 참고인은 증인과 달리 출석 의무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