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국감 최다 증인 출석에 오르는 쿠팡이 정치권의 거센 비판에 진땀을 흘렸다.
15일 쿠팡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와 환경노동위원회 국감에 각각 박대준 쿠팡 대표와 정종철 쿠팡풀필먼트서비스 대표가 출석했다.
먼저 쿠팡은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배송비, 수수료 및 정산주기 등으로 지적에 적극 개선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박대준 쿠팡 대표는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연륙도 고객들에게 받아온 추가 배송비 부과 문제 등에 대한 질의를 받았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 날 국감에서 “쿠팡은 농축수산식품에 대해 10.6%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정산 주기도 총판매 금액의 70%를 판매 후 15일, 30%를 판매 후 두 달 뒤 각각 지급해 영세 농어민 부담을 가중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쿠팡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연륙도서에 추가 배송비를 부과했다는 이유로 시정조치를 받은 바 있다.
박대준 쿠팡 대표는 “택배사들이 배송하는 중개거래 상품과 관련해 연륙도서의 우편번호가 인근 섬과 같아 도서·산간 지역으로 자동 분류되는 바람에 추가 배송비가 부과됐다”며 “중개 거래 상품은 구매 확정 다음 날 정산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미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어 “계속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찾아가도록 노력하고 정산주기는 더 개선하고자 금융기관과 협의를 진행 중”이라며 “타사 수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14일 박 대표는 산자위 국감에 출석해 정산 지연, 광고 강요 등 입점 업체 갑질 문제로 강도 높은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정종철 CFS 대표는 환노위 국감에서 노동 환경 및 처우 문제에 대한 질의를 받았다. 팡의 물류센터(풀필먼트) 운영을 맡고 있는 만큼, 물류센터 내 근로자들의 처우 문제가 주요 쟁점이 됐다.
특히 1년 동안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퇴직금을 지급해야 하는 일용직 퇴직금 지급 기준을 변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CFS는 지난 2023년 1년 이상 근무하더라도 4주 평균 주당 15시간 미만 일한 기간이 한 주라도 발생하면 근속 기간을 초기화하도록 이른바 리셋 규정을 도입했다. 이외에도 노동부에 접수된 퇴직금 체불 진정 건수가 160여건에 달하며 일부 건은 노동부의 시정지시에도 불이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정 대표는 “일용직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다시 원복(원상복구)하는 것으로 의사결정을 했다”고 답했다.
정 대표는 “우리 의도는 퇴직금 지급 기준을 명확히 하자는 취지였는데, 많은 오해와 혼선이 발생한 것에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이른 시일 내에 그 부분(퇴직금 지급 기준 변경)에 대한 절차를 진행하고, 피해가 없도록 제반 사항을 협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