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제579돌 한글날 경축식이 9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렸다.

민석 국무총리가 9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579돌 한글날 경축식에서 축사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날 ‘알면 알수록, 한글’을 주제로 열린 행사에 국가 주요 인사와 각계 대표, 시민 등 1200여 명이 참석했다.

경축식은 매체예술 영상과 발레 퍼포먼스로 시작됐다. 김주원 한글학회장의 훈민정음 원문 낭독과 팝아트 작가 이대인 씨의 해석본 낭독이 이어졌다. 한글을 의인화해 탄생부터 현재까지의 역사를 담은 주제 영상도 상영됐다.

한글 보급과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 포상도 진행됐다. 미국에서 40여 년간 한국어 교수로 재직하며 시조 번역과 한국 관련 저술 활동을 펼친 마크 알렌 피터슨 등 8명과 캐나다 몬트리올 한인학교에 훈·포장과 표창이 수여됐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축사에서 “오늘날 한국어와 한글은 ‘케이(K) 문화’의 원천”이라며 “K팝 노랫말로 전세계 팬들과 연결되고 K드라마와 영화가 감동을 전하는 데에는 우리 말과 글의 섬세하고 풍부한 표현력이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글은 더 이상 우리만의 문자가 아니다”라며 “한국어와 한글이 문화를 공유하고, 미래를 이끄는 말과 글이 되도록 국민 여러분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행사는 이경아 국어 교사, 공세완 학생, 최홍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의 선창으로 ‘대한민국 만세’ 삼창과 함께 마무리됐다.